호주 퀸즐랜드 그리피스대학 연구진이 인도네시아 남부 술라웨시에 있는 한 석회암 동굴에서 발견된 4만 5000여 년 전 암벽화 11개를 분석한 결과, 이중 상당수의 벽화가 벗겨지면서 훼손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전문가들은 고대 암벽화의 훼손 원인으로 벽화 뒤쪽에 생성된 소금 결정을 꼽았다. 해당 지역은 수천 년에 걸친 환경 변화를 견뎌왔지만, 현대에 들어 온실가스 증가로 극한의 기후가 이어졌고, 고온·다습 또는 고온·건조한 날이 반복적으로 이어지면서 벽화 뒤쪽의 소금 결정 크기가 커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연구진은 “날씨가 매우 덥고 건조한 날에는 소금 결정의 크기가 평상시보다 3배에 달할 수 있고, 이러한 결정이 벽화를 벗겨내고 훼손되는데 영향을 준다”면서 “소금 결정의 팽창과 수축이 벽화의 안료(물감 재료)를 약화시키고, 불과 수개월 만에 일부 부분에서는 손바닥 크기의 그림이 벗겨지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현상의 속도를 감안했을 때, 우리는 (고대 문화재를 지키기 위한) 시간 싸움을 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라며 “수만 년 전 문화재가 눈앞에서 사라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고고학자 및 암벽화 전문가들은 습도 상승으로 인해 벽화의 부패가 증가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기후변화로 인해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지면 벽과 벽화 사이의 공간에 곰팡이 또는 기타 미생물이 발생할 수 있고, 이것이 벽화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기후변화와 더불어 벽화가 있는 동굴 인근의 교통량 증가와 채굴 등 인간활동도 고대 벽화 훼손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인도네시아에서 고대 동굴 벽화 탐사에 참여했던 이탈리아 파도바대학 인류학자 프랑코 비비아니는 “술라웨시의 암벽화 훼손은 지구 기온이 오를수록 심해질 것이다. 이 놀라운 유산들은 아마도 사라지거나 줄어들 운명에 처했다”면서 “이에 따라 연구진은 이를 자료로라도 남기기 위해 열심히 사진을 찍는 등 기록하고 있다”고 말했다.
훼손되고 있는 고대 동굴 암벽화의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공개됐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