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현지 언론의 21일 보도에 따르면, 최근 코로나19 환자 중 말하거나 먹을 수 없을 정도로 혀의 크기가 커지는 대설증 증상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거절증이라고도 부르는 이 질환은 선천적 원인과 후천적 원인으로 나눠지며, 혈관종이나 림프 혈관종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미국 휴스턴의 제임스 멜빌 박사는 “최근 진료한 코로나19 환자 중 9명이 대설증 증상을 보였다. 실제로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지만, 코로나19 환자들은 일반 대설증 환자에 비해 혀가 커지는 증상이 더욱 심했다. 이 때문에 우리는 이것을 ‘거대 대설증’이라고 부르며, 매우 드문 현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멜빌 박사의 환자인 앤토니 존스 역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산소치료 등을 통해 목숨을 건졌지만, 이후 대설증이 나타난 사례에 속한다. 존스의 혀는 정상 크기의 몇 배로 부풀어오른 상태이고, 이 때문에 먹거나 말을 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환자가 부풀어 오른 혀 때문에 호흡까지 어려워지자 의료진은 환자의 폐를 보호하기 위해 애썼지만, 결과적으로 혀의 상태를 더욱 나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했다. 결국 멜빌 박사와 의료진은 환자의 혀 크기를 원상태로 줄이고 염증을 완화하기 위한 수술을 진행했다.
수술 및 치료 끝에 대설증 증상은 완화됐지만,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대설증을 유발하는 정확한 원인과 과정을 아직 찾아내지 못한 상황이다.
다만 멜빌 박사는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염증이 다른 신체 기관으로 옮겨졌고, 이것이 또 다른 염증과 붓기를 유발하는 대설증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내가 직접 확인한 코로나19 대설증 환자 9명 중 8명은 흑인이었고, 인종 또는 혈관 부종이 이러한 사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에 감염된 뒤 심장 등 다른 장기가 비대해졌다는 사례를 확인했다. 이것이 대설증과도 연관이 있는지 연구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코로나19로 인한 대설증은 저절로 치유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