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최대도시 시드니는 27일부터 오는 7월 9일까지 2주간의 봉쇄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시드니 일대 주민들은 2주간 생필품 구매·운동·의료 또는 동정적 돌봄·생업 또는 교육 등 4가지 필수 목적 이외의 외출이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이번 봉쇄는 전파력 강한 인도발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조처였다. 현지 유명 해변인 본다이 일대에서 델타 변이 확진자가 110명으로 늘어난 것이 결정타였다. 뉴사우스웨일스주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언 총리는 봉쇄 첫날 브리핑에서 “델타 변이의 강력한 감염력을 고려할 때, 확진자 수는 수일 내로 현 수준을 뛰어넘을 만큼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베리지클리언 총리는 “팬데믹 이래 가장 두려운 시간”이라며 델타변이 확산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변이 바이러스 확산과 그에 따른 재봉쇄에 시드니 일부 지역에서는 사재기가 잇따랐다. 뉴사우스웨일스경찰청 게리 워보이즈 부청장에 따르면 26일 시드니 교외 켈리빌 지역 대형마트에서도 생필품 사재기가 목격됐다. 공황에 빠진 주민들은 카트를 밀고 마트를 질주하며 빵과 고기, 파스타, 화장지를 잔뜩 쓸어 담았다. 앞서 보우럴, 울라아라, 웨이벌리 등지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났다. 마트마다 텅 빈 매대는 재봉쇄 조처에 대한 주민 불안을 여실히 보여줬다.
혼란이 이어지자 워보이즈 뉴사우스웨일스주경찰청 부청장은 “사재기는 불필요하다. 오히려 사회적 거리두기를 어렵게 만든다”고 강조하며 분별력 있는 행동을 주문했다. 베레지클리언 총리 역시 “공황에 빠질 필요 없다. 통금 시간도 없다. 모든 마트가 일주일 내내 문을 열 것”이라면서 “언제든 집을 나와 생필품을 살 수 있다”고 주민들을 다독였다.
시드니 일부 지역에서는 지난해 봉쇄 때도 화장지 등 생필품 사재기가 관찰된 바 있다. 근거 없는 공급난 루머까지 겹치면서 화장지를 챙기려는 주민 간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호주는 코로나19 확산 후 신속한 국경폐쇄, 강력한 거리두기 시행 등으로 다른 서구 선진국보다 방역에 비교적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델타변이를 포함해 소규모 집단 감염이 빈발하고 있다. 현재 호주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3만450여 명, 누적 사망자는 910명이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