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는 지난 1만 년이 넘는 오랜 세월 각종 작물을 선택적으로 재배해 특정한 성장 조건에 맞도록 키워 수확률을 높였지만, 이제 기온 상승이나 가뭄, 폭우, 또는 새로운 병충해 등 환경 조건이 놀라울 정도로 변하면서 이런 작물의 성장이 취약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국제기구인 세계작물다양성재단(GCDT)에서 식용작물의 근연종에 해당하는 야생 식물을 세계 규모로 조사하는 작물 야생근연종 프로젝트를 맡고 있는 책임자 벤저민 킬리언은 AFP통신에 “농작물에서 수확량 증가와 같은 특성을 키우면 일부 유전자가 사라져 버린다”고 지적했다.
책임자는 또 “야생 식물을 재배화하는 과정에서 유전자의 다양성이 떨어졌기에 품종 개량된 엘리트 작물은 앞으로의 기후 변화와 같은 환경 문제에 적응할 잠재력이 제한적”이라면서 “이런 문제에 관한 해결책으로 야생의 조상종으로 돌아가 유전자 다양성을 재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과학자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5월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는 농업 생산량의 3분의 1 가까이를 이상적인 재배 기후 밖으로 옮길 위험이 있다.
국제감자센터는 이런 기후 변화로 감자와 고구마의 수확량이 2060년까지 32%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커피 생산지 역시 2050년 이전까지 절반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주식 작물인 쌀은 재배 과정에서 메탄을 방출해 지구 온난화에 크게 관여한다. 게다가 쌀을 재배하는 논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염분이 과하게 유입될 위험에도 노출돼 있다.
그런데 이들 작물은 품종 개량되기 전 고온이나 소금물에 관한 내성이 유전자에 포함돼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 유전자를 되찾기 위해 전문가들은 야생의 조상종을 찾고 있는 것이다.
생물다양성 연구개발기관인 ‘바이오다이버시티 인터내셔널’의 농업 전문가인 마를레니 라미레스는 “우리는 가능한 한 많은 생물 다양성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면서 “생물 다양성은 위험을 줄이고 선택지를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조상종을 구할 잠재적인 곳 중 하나는 유전자 은행으로, 4만 종 가까이 야생식물이 있는 영국 큐왕립식물원에 있는 밀레니엄 종자은행과 같은 곳이 있다.
그렇다고 해도 모든 야생 근연종을 이런 유전자 은행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킬리언은 지적했다. 그는 또 그러면 시간을 두고 자연에서 조상종을 찾는 작업은 식물학자들의 몫이 되겠지만, 성공 여부는 순전히 운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야생 식물이 대규모 농업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고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 데 몇 년에서 몇십 년이 걸릴 수도 있다. 그러면 임박한 식량 위기에 대처하는 데 늦을 수 있는 것이다.
대신 전문가들은 특정 식량에 의존하지 않는 방법을 알아낼 필요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지적하고 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지구에는 약 5만 종의 식용식물이 서식하지만, 쌀, 옥수수, 밀 등 3종만이 세계 식량 에너지의 60%를 공급한다. 이들 세 작물을 재배할 수 없게 된다면 전 세계 몇십억 명의 사람들은 무엇을 먹어야할지 망설여야 하고 몇백만 명의 농민들은 새로운 생계 수단을 찾아야 할지도 모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