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매체는 전 씨의 대통령 재임 당시 양국의 경제적 교류는 상대적으로 고립 상태에 빠져 있었다고 지적, 중국에 우호적이었던 그가 한중 양국의 경제적 무역협력 재개에 현명한 역할과 결정을 내렸던 바 있다고 치켜세웠다.
한국과 중국이 정식 수교한 것은 노태우 정부인 1992년 8월 무렵이다. ‘북방정책’을 추진했던 노태우 정권 시절 대만과 단교 후 중국과 정식 수교를 했던 것. 하지만 실질적으로 양국의 본격적인 교류를 시작한 것은 전두환 집권기인 1980년대 무렵이라는 것이 현지 언론의 설명이다.
특히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에 중국이 참가하면서 수교 분위기는 고조됐다. 이후 경제 분야와 체육, 문화, 관광 등 민간 영역에서의 교류가 빠르게 발전됐다는 것이 현지 언론의 분석이다.
이와함께 해당 매체는 전 씨 사망 소식을 보도한 한국 국내 언론들의 보도 내용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당일 사망한 전 씨에게 ‘대통령’이라는 호칭과 ‘별세’라는 단어 대신 ‘사망’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에 집중한 것.
이 매체는 ‘한국의 유력 방송사들이 대통령 호칭을 사용하지 않은 채 사망 소식을 보도했다’면서 ‘이는 전직 대통령으로의 예우가 박탈당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또, 전 씨에 대한 한국 내 비판적인 여론에 대해서도 상세히 보도했다. 이 매체는 뤼차오 수석연구원의 발언을 통해 “그는 한국 법에 따라 사망 후 국립묘지에 묻힐 수 있는 예우가 박탈된 상태다. 생전 중형을 선고받은 탓에 죽은 뒤 북한이 보이는 국경선 고지에 시신이 묻힐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중국 매체들은 전 씨 사망 소식이 전해진 직후 ‘자택에서 향년 90세로 사망했다’, ‘독재자의 삶을 마감했다’ 등의 속보성 단신을 빠르게 보도했던 바 있다. 특히 중국 외교부는 전 씨의 사망 소식 직후 유가족에게 위로를 표시하는 공식 입장을 전달하기도 했다.
지난 23일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전 씨 사망과 관련해 “중국과 한국 수교 이전에 한국의 지도자였다”면서 “우리는 그의 사망에 대해 그의 가족에 진심으로 위로를 표한다”고 했다. 한편, 중국 언론들은 불과 한 달 사이에 한국의 전직 대통령 두 명이 잇따라 사망한 사건을 되짚기도 했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