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에서는 ‘익티오사우루스’(ichthyosaurs)라고 부르는 어룡은 ‘물고기 도마뱀’이라는 뜻으로 전체적인 생김새는 지금의 돌고래와 비슷하다. 폐로 숨을 쉬는 어룡은 지금의 상어와 같은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어 물 속에서 빠르게 헤엄쳐 바다에서는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로 군림했다.
이번에 새롭게 확인된 어룡의 두개골 화석은 길이가 91㎝ 정도로 날카로운 이빨로 가득하다. 연구에 참여한 맥길 대학 한스 라르손 박사는 "두개골과 이빨의 구조를 봤을 때 큰 먹이를 먹기에 매우 적합했다"면서 "이는 작은 물고기나 여러 부드럽고 작은 생물을 먹는 다른 어룡과는 대조적"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이유로 연구팀은 이 어룡에 '예리하게 자른다'는 의미를 가진 콜롬비아 원주민 언어인 '키히티슈카'(Kyhytysuka)라는 학명을 붙였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어룡 화석은 1970년 대 콜롬비아의 비야 데 레이바라는 지역에서 처음 발굴됐다. 이어 1997년 전문가들은 이 화석을 어룡으로 확인하고 최후의 어룡인 '플라티프테리기우스'(platypterygius) 속(屬)으로 분류했다가 이번에 키히티슈카 속으로 새롭게 정리했다.
라르손 박사는 "키히티슈카는 지구 역사상 매우 흥미로운 시기인 백악기 초기에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어룡 중 하나"라면서 "어룡의 진화 과정과 당시 해양 생태계의 먹이 사슬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어룡은 2억 5000만년 전 지구상에 처음 나타나 1억 5000만 년 이상이나 번성한 수서 파충류로, 공룡과 계통은 다르다. 일반적으로 미국과 유럽대륙의 광범위한 곳에서 화석이 발견되며, 겉모습은 고래 또는 돌고래와 유사하다. 당시 서식했던 어룡 중 가장 큰 것은 20m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