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지동물 노래기강의 총칭인 노래기는 지네와 유사하지만 다른 동물로, 습하고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다. 몸마디 수는 11∼60개 이상, 걷는 다리는 13∼100쌍 이상이고, 전 세계에 약 1만 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썩은 풀이나 나무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식물 유체를 분해하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하는 대신 악취를 풍겨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기도 한다. 4억여 년 전 지구상에 처음 출현했고, 현재 1만 3000종 이상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케임브리지대학 네일 데이비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진은 2018년 1월, 잉글랜드 북동부에 있는 노섬벌랜드의 절벽에서 해변가로 떨어진 큰 사암(모래 퇴적암)을 발견했다.
거대한 사암 안에서는 오래된 화석이 발견됐고, 연구진은 2년여의 분석 끝에 해당 화석이 고대 노래기의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사암에서 발견된 거대 노래기의 화석 길이는 약 74㎝로, 이는 노래기 전체 중 일부만이 화석화 된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화석의 주인공이 약 3억 2600만 년 전 번성한 거대 원시 노래기인 아르트로플레우라(Arthropleura)라고 설명했다.
현존하는 노래기의 몸길이는 2~28㎝에 불과한 반면, 이번에 발견된 고대 노래기는 최대 길이가 2.6m, 너비 55㎝. 무게가 약 50㎏에 달한다. 같은 시기에 서식했던 고대 바다 전갈보다 더 큰 역대 최고의 무척추동물로 기록될 전망이다.
연구를 이끈 데이비스 박사는 “노래기가 이 정도까지 크게 자랐다는 것은 당시 매우 영양가 있는 먹이를 먹었다는 의미”라면서 “이렇게 거대한 노래기 화석을 찾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노래기는 죽을 때 각각의 마디가 분리되는 특성이 있는데, 이번에 발견된 화석은 분리된 마디 중 하나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아직 화석화 된 머리를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에 더욱 자세한 정보를 얻는데 한계가 있다”면서 “멸종되기 전까지 약 4500만 년 동안이나 지구상에 서식했던 이 노래기가 사라진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이 노래기 종에게 치명적인 기후변화 때문일 것이라는 추측을 내놓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영국에서 발간되는 런던지질학회지 최신호에 실렸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주 호주 광산 깊숙한 곳에서 발견된 신종 노래기(학명 유밀리페스 페르세폰, Eumilliipes Persephone) 소식과 더불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유밀리페스 페르세폰은 몸길이 약 9.5㎝에 1306개의 다리를 가졌으며, 현존하는 노래기 중 가장 많은 다리를 가진 것으로 기록됐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