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홋카이도대 등 연구진은 현재의 기후 변화 추세가 나아지지 않았을 때 남극 빙상의 장기적인 변화를 예측해 위와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 연구에서 지구 온난화가 남극과 그린란드 빙상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빙상 모델인 ‘이스밉6’(ISMIP6·Ice Sheet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phase 6)를 사용했다. 이는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지난 8월 발행한 제6차 평가보고서(AR6)의 데이터로 쓰인 것이기도 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특히 ‘시코폴리스’(SICOPOLIS·Simulation CODE for POLythmal Ice Sheets)로 알려진 빙상 모델과의 결합으로, 남극 빙상이 2100년 이후로도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예측했다. 이에 따라 2100년까지의 시뮬레이션은 원래의 이스밉6 결과와 같지만, 그후에는 지구 온난화가 더는 악화되지 않는다고 가정했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남극 빙상의 총 질량 변화와 지역적 변화 그리고 이런 변화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에 중점을 둬 시뮬레이션을 시행했다.
그 결과, 현재의 지구 온난화 추세가 계속된 환경에서 서기 3000년이 되면 전 세계 해수면은 최소 1.5m에서 최대 5.4m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온실가스의 감축에 성공해 지구 온난화의 수준을 완화하는 데 성공하면 해수면 상승을 최소 13㎝에서 최대 32㎝까지 제한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시나리오도 제시됐다.
연구 주저자인 홋카이도대 저온과학연구소의 크리스토퍼 챔버스 박사는 “이 연구는 21세기의 기후 변화가 남극 빙상에 미치는 영향은 이번 세기가 훨씬 더 지나서도 나타나며 나중에는 몇 미터의 해수면 상승이라는 가장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준다”면서 “앞으로는 더 현실적인 미래 기후 시나리오에 근거하는 시뮬레이션이나 다른 빙상 모델을 더해 더 정확하게 예측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수면 상승은 기후 변화의 악영향으로 지구상 얼음이 녹아내려 나타나는 현상으로, 인구 밀도가 높은 해안 지대는 적절한 대책 없이 살 수 없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해수면 상승에 영향을 주는 빙상이나 빙하의 변화를 이해하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빙하학 저널’(Journal of Glaciology) 최신호(12월 22일자)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