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한 부당 단돈 1~2위안에 구매할 수 있는 종이신문의 가치는 여전하다. 비록 종이 신문의 자리를 인터넷 신문들이 대체하는 시기가 왔다고 다들 입을 모으는 시대에서도 말이다.
베이징은 1위안, 선전은 2위안 등 대도시별로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단돈 1~2위안의 적은 돈으로 중국이 낯선 외국인들이 할 수 있는 가장 값어치 있는 일 중 하나는 바로 종이 신문을 사서 읽는 것이라는데 이의를 제기할 이는 별로 없을 정도다.
그마저도 1년 정기권으로 구독할 경우 100위안 미만의 할인된 가격으로 1년 내내 가장 핫한 이슈를 담은 종이 신문이 매일 아침 현관문 앞까지 배달된다.
이 같은 분위기를 잘 아는 중국 당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대도시 곳곳에 마련된 오프라인 신문 가판대를 올림픽 행사 주요 홍보 지점으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시 정부는 8일 오전 약 700여 곳에 달하는 시 중심가의 신문 가판대 외부 벽면을 활용, 동계올림픽(1월 21일~2월 21일), 동계 패럴림픽(3월 1~14일) 행사 안내를 알리는 대형 홍보 대를 설치했다.
이 같은 홍보 방식은 지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때도 동일하게 활용됐는데, 당시 시 정부는 중심가 일대의 신문 가판대를 활용해 각종 올림픽 행사와 관련된 테마포스터를 부착해 적은 비용으로 큰 홍보 효과를 거뒀다는 호평을 받은 바 있다.
그리고 그로부터 14년이 흐른 이번 동계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베이징 다수의 오프라인 신문가판대는 세계인의 축제를 알리는 2022년 동계올림픽 홍보 포스터로 분위기가 한껏 고조된 상태다.
14년 전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오프라인 신문 가판대 외부를 화려하게 장식한 올림픽 홍보물에 모바일로 모든 소식을 실시간으로 접속할 수 있는 ‘QR코드’가 추가 부착돼 있다는 점이 유일한 차이다.
이와 함께, 중국 당국은 이번 동계올림픽 개최를 기념해 오는 21일 ‘베이징2022년 동계올림픽과 동계패럴림픽 공식 중문회보’(이하, 소식지) 정식 발간을 앞두고 있다는 소식을 발표했다. 올림픽조직위원회와 베이징러바오가 공동으로 정식 창간한 이 신문은 올림픽이 진행되는 기간에 한정적으로 운영될 방침이다.
동계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시도되는 공식 소식지 발간은 향후 행사가 종료된 이후 수도박물관에 영구 소장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눈여겨볼 점은, 이번 올림픽 공식 소식지가 오프라인 가판대 신문에서는 다 담기 힘든 실시간 경기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QR코드 인식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계획이라는 것이다. 그야말로 온·오프라인 두 채널을 넘나들며 각종 소식을 누구나 각자 익숙한 방식으로 접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이런 가판대를 활용한 소식지는 베이징시의 중심가인 둥청, 시청, 차오양, 하이덴취 등 총 12곳의 지역구에 분포된 700여 곳의 오프라인 신문가판대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또, 시 정부는 향후 인파가 밀집하는 광장, 지하철역 입구 광고판, 버스정류장 등 추가 지역에 베이징 올림픽 홍보물 설치를 이어갈 방침이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