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월 14일, 일본 홋카이도 베쓰카이정 노쓰케반도에서는 죽은 사슴의 잘린 머리를 뿔에 달고 다니는 수사슴이 포착됐다. 죽은 사슴의 뿔과 뿔이 엉킨 수사슴은 고개조차 제대로 가누지 못했다.
수사슴은 일본꽃사슴(Sika Deer, 학명 Cervus nippon) 아종인 에조사슴(학명 Cervus nippon yezoensis)이었다. 영어명 Sika는 한자 사슴 록(鹿)의 일본 발음 ‘시카’에서 유래했다.
에조사슴 등 일본꽃사슴 수컷은 번식기가 되면 다른 사슴종과 마찬가지로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 수컷과 ‘뿔 싸움’을 벌인다. 10월까지는 단단하고 날카로운 뿔을 준비해야 싸움에서 이길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사슴은 경쟁자를 물리치고도 번식에 실패하는 허울뿐인 승리를 거두기도 한다. 홋카이도에서 포착된 수사슴처럼 말이다.
학자는 홋카이도 수사슴 역시 같은 처지였을 거로 추측했다. 그는 “수사슴은 뿔이 엉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상대가 죽을 때까지 기다렸을 것이다. 그러는 사이 상대 수사슴이 죽고 그 사체가 썩어 없어지면서 수사슴도 움직일 수 있게 됐을 것이다. 하지만 죽은 사슴의 뿔은 엉킨 채로 여전히 남아 그대로 달고 다닐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과거에도 뿔끼리 맞물려 굶어 죽은 수사슴 한 쌍을 발견한 적 있다”고 덧붙였다.
학자는 이어 “다른 서식지에서는 이런 경우 두 수사슴 모두 포식자 표적이 되는 경우가 많다. 수사슴이 살아남은 건 노쓰케반도에 인간은 물론 이렇다 할 적이 없었던 덕이었다”고 전했다. 또 “죽은 사슴 머리가 마치 비운의 트로피 같다. 수사슴의 숙명과 자연의 가혹함을 상기시킨다”고 해석했다.
이런 현상은 서식지와 종을 가리지 않고 여러 나라 다양한 사슴종 수컷에게서 발견된다. 2019년 2월 미국 텍사스주에서도 번식기 싸움 도중 상대와 뿔이 엉킨 수컷 흰꼬리사슴이 구조된 바 있다. 당시 수사슴은 부패한 상대 사슴 사체 옆에 누워 있었다.
한편 아사히신문은 죽은 사슴머리를 뿔에 달고 다니던 수사슴이 3~5월 뿔이 탈락하고 새 뿔이 돋아나면서 비로소 무거운 업보에서 벗어났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지난 가을 번식기를 보내고 또 어떤 수사슴이 숙명적 업보에 매여 겨울 들판을 헤매고 있을지 모를 일이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