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가봉 로앙고국립공원에서 ‘오조가(Ozouga) 침팬지 프로젝트’를 진행한 해외 연구진은 2019년 11월 13일 어미 침팬지 ‘수지’가 아들 ‘시아’ 발바닥에 난 상처를 치료하는 듯한 장면을 목격했다. 어미는 허공을 나는 벌레를 잡아 입술로 가져갔다가 아들 발에 난 2㎝ 크기의 상처에 대고 여러 차례 문질렀다.
고릴라나 침팬지가 약초를 씹거나, 삼키거나, 상처에 발라 자기 치료한다는 건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식물이 아닌 동물 즉 벌레를 상처에 적용하는 것이 관찰된 건 처음이었다. 자가치료가 아닌 개체 간 치료 행위가 포착된 적도 없었다.
연구진은 어미 침팬지의 행동을 이전에는 확인된 바 없는 특이 행동으로 결론 내리고, 다른 침팬지도 유사한 행동을 하는지 집중적으로 관찰했다.
연구진은 2019년 11월부터 2021년 2월까지 15개월 동안 침팬지 22마리를 상대로 22건의 치료 행위 사례를 수집했다. 그 중 19건은 침팬지 7마리가 자신의 상처를 돌본 자가치료 사례였으며, 나머지 3건은 침팬지가 자신이 아닌 다른 침팬지의 상처를 치료한 개체 간 치료 사례였다.
연구진은 관찰 1년 만에 어렵사리 침팬지 간 치료 행위를 확인했다. 2020년 10월 20일 암컷 성체 ‘캐럴’이 정강이를 다친 수컷 성체 ‘리틀그레이’에게 벌레를 잡아 건네고, 수컷은 그 벌레를 상처에 대고 문지르는 걸 포착했다. 연구진은 이런 개체 간 치료 행위가 침팬지의 친사회적 능력을 보여주는 또 다른 행동양식이라고 밝혔다.
논문 공동저자로 오스나브뤼크대 인지생물학 교수인 지모네 피카 박사는 “침팬지의 인지 기술에 관심을 둔 입장에서 침팬지가 자신의 상처는 물론 다른 침팬지의 상처까지 치료하는 것을 보고 놀랐다”고 했다. 침팬지가 자신이 아닌 다른 개체의 이익을 위해 행동할 수 있다는 추가 증거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침팬지가 약으로 사용한 벌레가 통증을 완화하거나 염증을 소독하는 진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벌레가 정확히 어떤 종류였는지는 아직 연구 중이다. CNN에 따르면 연구진은 앞으로 침팬지가 상처에 문지른 벌레가 무슨 종인지 정확히 밝히고, 생물학적 검증을 통해 실제 약효가 있는지 파악할 계획이다. 상처를 치료한 침팬지와, 치료를 받은 침팬지의 무리 내 관계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를 진행한 저널 발행사 셀프레스(Cell Press)와 독일 오스나브뤼크대학 과학자들은 7일 생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그 결과를 발표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