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행정원 주계총처(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계란 가격 상승률은 18.38%로 3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또한, 화장지 최대 제조업체 용펑(永豐)도 내달부터 가정용 화장지 가격을 8% 인상한다고 밝혔다.
14일 평일 낮에 대만의 한 체인 마트를 직접 찾은 결과, 생각보다 많은 이들이 계란과 화장지를 구입하고자 몰려든 것을 볼 수 있었다.
가격이 가장 싼 계란은 10알에 52대만 달러(2350원)로 적혀 있었다. 음력 설 이전에 이 계란은 44대만달러였다. 약 18%이상 오른 것을 확인했다. 마트 직원은 “계란 수급이 불안정해지면서 단숨에 계란 가격이 올라갔다”고 말했다.
이날 마트는 계란과 화장지에 대해 1인당 구매 제한을 시행하고 있었다. 지난 11일 대만 코스트코도 계란과 화장지에 대해 회원카드 수에 비례하여 구매 제한을 두기 시작했다.
13일 타이베이시 네이후구에 있는 한 시장을 찾았을 때 마트에서 파는 계란보다 질이 좋은 계란 10알을 150대만달러를 주고 겨우 구입할 수 있었다. 값싼 계란은 살 수 없었다. 계란 상인은 계란 몇 상자를 쌓아두고도 “이미 다 예약된 계란”이라며 더 이상 계란을 팔지 않았다.
대만에서 달걀 하루 수요량은 2300만~2400만 개로 현재 150~200만 개가 부족한 것으로 대만 정부는 파악하고 있다.
천지중 주임은 “사료로 쓰이는 옥수수, 대두 가격이 지난해부터 지속해서 상승했고, 기온의 변화로 달걀 생산이 감소했다”며 계란 공급 부족의 원인을 밝혔다.
그는 농업위는 보조금 제공 조치로 소비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생산량을 늘릴 수 있도록 했다며 해당 조치는 2월 말까지 시행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3월 중순 이후 계란 부족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달걀의 공급 부족 문제가 해결된 뒤에 가격이 종전 수준으로 회복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
오르는 것은 생필품뿐만이 아니다. 주차 요금도 대폭 인상될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 언론 씨원트는 타이베이시 공공 주자요금도 오른다며 “2022년은 물가 상승의 해”라고 적었다.
타이베이시는 유동량이 많은 지역에 위치한 250개 공영 주차장 및 5만 개에 이르는 노상 주차 구역에 대해 주차 요금 인상안을 검토 중이다. 타이베이시는 시간당 최대 60대만 달러에서 80, 100, 120, 150 대만달러 등 4종류의 요금 인상안을 발표했다.
타이베이시 주차관리처 관계자는 "대부분 구간은 동일한 요금을 유지한다"면서도 "이용률이 90% 이상인 특정 지역에만 적용된다"고 했다. 이어 “설날과 같은 명절에 인파가 몰리는 지역의 경우, 날짜에 따라 차등 요금이 부과될 전망”이라고 했다.
류정엽 타이베이(대만) 통신원 koreanlovestaiwan@gmail.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