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이번에는 중국 공산당의 이 같은 출판물에 대한 대대적인 검열과 감시가 중국 국내를 넘어 국외 출판물에까지 검은 손을 내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은 최근 유럽의 출판사 두 곳이 인쇄비 원가 절감을 위해 중국으로부터 대규모 인쇄 자금을 지원받겠다는 목적으로 대만과 홍콩 등 중국 공산당에 민감한 내용과 단어를 스스로 삭제했다고 16일 보도했다.
이 매체는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 보도를 인용해 유럽을 기반으로 운영 중인 출판 그룹 두 곳이 최근 출간한 서적에서 기존의 ‘대만인’이라는 단어를 모두 삭제하고, ‘동아시아인’이라는 표현으로 대체했다고 지적했다.
문제가 지적된 출판사 두 곳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출판 그룹으로 불리는 아셰트(Hachette) 산하의 옥스퍼드 북스(Octopus Books)와 영국 런던의 상징적인 출판사 콰트로(Quarto) 등으로 알려졌다.
이들 출판사 두 곳은 지난 2020년부터 출간물 내의 ‘대만’이라는 단어를 자체적으로 삭제했고, 일부 출판물에 대해서는 ‘티베트’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 부분을 검열해 수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외국계 출판사의 중국 공산당 눈치 보기 현상에 대해 이 매체는 ‘이들이 자기 검열을 통해 출판 인쇄에 드는 돈을 절약하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런데, 문제는 외국 출판물과 영화 등 각종 창작물에 대한 중국 당국의 사건 검열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 비단 이번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지난 1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1999년 브래드 피트가 주연한 영화 ‘파이트 클럽’이 중국의 악명 높은 검열 탓에 중국에서 결말의 결정적 부분이 삭제된 채 원작과 완전히 다른 결말로 편집돼 서비스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원작과 비교해 12분 이상 잘려나간 중국판 ‘파이트 클럽’의 결말에는 주인공이 총을 쏘는 장면과 건물 폭파 장면 등이 삭제돼 완전히 다른 결말을 창조해냈다는 현지 누리꾼들의 자조적인 반응이 나올 정도였다.
또, 이에 앞서 지난 2019년에도 호주 언론을 통해 중국 정부에 속한 검열 기관이 중국에서 인쇄되는 호주 출판사의 서적들을 검열하고 있으며, 만약 호주 출판사들이 중국에 비판적인 내용을 실을 경우 이들을 ‘블랙리스트’로 관리해 중국 내 출판을 금지해오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당시 호주 매체는 해당 서적들이 호주 작가가 호주 독자들을 대상으로 쓴, 호주에서 발행된 영문 출판물일지라도 검열이 강제됐다는 점을 강조하며 상황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실제로 이 매체는 당시 중국 출판사의 호주 지점을 통해 유출된 것으로 알려진 자료를 인용해, 중국 공산당의 외국 서적 출판 검열 블랙리스트는 중국 반체제인사와 시위자에 대한 서적과 시진핑 국가 주석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한 서적들에 대한 중국 내 인쇄를 완전히 금지하는 것을 기준으로 작성됐다고 했다.
해당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외국 서적에는 1989년 톈안먼 대학살과 2011년 북아프리카 튀니지에서 발생한 민주화 운동인 재스민 혁명, 2014년 홍콩에서 발생한 민주화 시위인 우산 혁명 등 중국 공산당 체제를 위태롭게 할 우려가 있는 세계 각국의 정치적 사안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홍콩침례대학교 신문학과 려우 루웨이 교수는 “전 세계 각국의 출판사들이 중국 당국의 콘텐츠 검열 규제 기준을 잘 아는 만큼 인쇄물에 대한 원가 절감을 위해 이 같은 행태를 벌이고 있다”면서 “중국의 검열이 서방 국가까지 뻗어 있다”고 비판했다.
독립중문필회 창위(张裕) 사무총장은 “중국에는 엄격한 출판과 인쇄물에 대한 검열 제도가 있다”면서 “과거 다수의 중국 인쇄소에서는 제멋대로 영문 출판물을 개조했고, 주로 대만(Taiwan)이라는 글자 뒤에 중국(China)를 붙여 대만이 중국의 일부라는 점을 강조하는 방식이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하지만 과거의 사례가 외국의 출판업자와 저자들이 이 같은 중국 내부의 검열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는 점과 다르게, 최근에는 국외 출판사들이 직접 나서서 중국식 자기 검열을 한다는 점은 이전과 크게 달라진 점이다. 모두 돈을 아끼기 위한 백해무익한 행동”이라고 덧붙였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