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딤 보이첸코 마리우폴 시장은 18일(이하 현지시간) “아조우스탈 제철소에는 농축된 액화 황화수소수만 수만t이 저장돼 있다”면서 “러시아군의 아조우스탈 제철소 공격으로 치명적인 화학물질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황과 수소의 화합물로 가연성을 가진 황화수소는 적은 용량에 짧은 시간 노출돼도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유독성 물질이다.
보이젠코 시장은 “아조우스탈 제철소의 화학물질 유출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환경재앙을 일으킬 수 있다. 바다로 유출되면 (흑해 북부의 한 해역인) 아조브해(海)의 동식물을 완전히 죽일 것이며, 지중해까지 흘러 들어갈 수 있다”면서 “아조브해의 생명체가 완전히 멸종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러시아가 마리우폴에서 빈민가를 만들려 시도하고 있으며, 화학물질로 오염된 물이 우크라이나에 또 다른 위기를 가져올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러시아군은 지난달부터 마리우폴의 마지막 방어 거점인 아조우스탈 제철소를 집중 공격했다. 중포와 탱크는 물론, 전투기와 군함까지 동원해 총공세에 나섰고, 이 과정에서 아조우스탈 제철소 지붕과 주위 구조물이 완전히 파괴된 모습이 공개되기도 했다.
"러시아의 무차별 공습, 환경 재앙 불러 일으킬 것 "지난 15일에는 러시아군이 아조우스탈 제철소 공격에 백린탄을 사용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백린탄은 소이탄(燒夷彈, incendiary bomb)의 한 종류다. 소이탄은 사람이나 시가지·밀림·군사시설 등을 불태우기 위한 탄환류로, 폭탄이나 로켓탄, 수류탄 등의 탄환류에 소이제를 넣은 것이다. 백린탄은 산소가 고갈되지 않는 이상 계속 연소하기 때문에, 한 번 불이 붙으면 소화하기가 매우 어렵다. 연기를 흡입하는 것만으로도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러시아가 백린탄을 이용했다는 우크라이나측의 주장을 입증할 만한 영상도 속속 공개됐다.
해당 주장과 영상이 공개된 뒤 우크라이나 국가원자력검사청(State Nuclear Regulatory Inspectorate) 역시 “아조우스탈 제철소를 향한 러시아군의 포격은 중대한 환경재앙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러시아의 공습으로 심각한 환경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러시아군은 지난 3월 실험용 원자로가 있는 하르키우 원자력연구소를 폭격했다. 당시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핵시설과 핵물질 저장시설의 파괴는 대규모 환경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전쟁 범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러시아 국방부는 18일 아조우스탈 제철소에서 항전하던 군인들의 투항이 이어지고 있으며, 전체 투항자가 950명을 넘었다고 밝혔다. 중대범죄를 수사하는 러시아 연방수사위원회는 투항한 우크라이나 군인들을 상대로 친러 돈바스 지역 민간인 대상 범죄 행위에 참여했는지 여부를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