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항공우주국(NASA)의 소형 헬리콥터 `인저뉴어티’가 화성에서 또다시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지난 27일(현지시간) NASA는 인저뉴어티가 25번째 비행에서 가장 멀리, 또한 가장 빠른 비행 속도 기록을 세웠다고 밝혔다. NASA에 따르면 인저뉴어티는 지난달 8일 25번째 비행에서 총 704m를 날았으며 최고시속 19㎞(초속 5.5m)를 기록했다.
이와함께 NASA가 공개한 영상을 보면 다소 조잡해 보이지만 인저뉴어티가 화성 표면에 그림자를 남기며 날아가는 것이 확인된다.
|
인저뉴어티 팀을 이끌고 있는 테디 자네토스는 "당시 인저뉴어티의 하향 탐색 카메라가 화성 표면 10m 위를 시속 19㎞로 날아가는 숨막히는 영상을 촬영했다"면서 "화성 표면에서 이륙한 뒤 약 1초 후에 비행이 시작되는데 고도 10m에 도달해 인저뉴어티가 남서쪽으로 비행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2월 18일 화성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에 실려 화성에 도착한 인저뉴어티는 2개월 후인 4월 19일 지구 밖 행성에서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40초 동안 3m까지 상승했다가 착륙하는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놀라운 점은 당초 인저뉴어티가 총 5번의 시험 비행만 하기로 예정되어 있었다는 점으로, 전문가들의 예상을 훌쩍 넘어 현재는 29번째 비행을 준비 중이다.
|
동체가 티슈 상자만한 인저뉴어티는 너비 1.2m, 무게는 1.8㎏으로 혹독한 화성 환경에서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인저뉴어티는 지구 대기의 1% 정도로 희박한 화성 대기층에서 날 수 있도록 탄소섬유로 만들어진 날개 4개가 분당 2400회 회전하도록 설계됐다. 이는 보통 헬리콥터보다 약 8배 빠른 속도다. 인저뉴어티에는 2개의 카메라와 컴퓨터, 내비게이션 센서가 탑재되어 있으며, 영하 90도까지 떨어지는 화성의 밤 날씨를 견디기 위해 태양열 전지도 갖추고 있다.
|
다만 인저뉴어티는 고해상도 카메라를 가지고 있지만 과학도구는 탑재하고 있지 않다. 이는 인저뉴어티가 화성의 공중 탐사를 위한 길을 열어주기 위해 고안된 기술 시연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