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은 지금

[대만은 지금] ‘동병상련’…대만·우크라이나 정치교류 확대 조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대만·우크라이나 국회의원 우호협회가 설립됐다
중국의 군사적 위협을 받고 있는 대만이 러시아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우크라이나와 교류를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공식 관계가 없는 대만과 우크라이나는 국회의원 우호협회를 설립했다. 양측은 외교 대표처도 두고 있지 않은 상황이라 관심이 쏠린다.

11일 대만 민진당 입법위원 황스제 대만·우크라 우호협회 회장은 대만과 우크라이나 국회의원 우호협회가 창립됐다고 밝혔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창립 기념 행사에는 대만거주 우크라이나 학자 등도 자리했다. 우크라이나 협회장의 축사는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으로 인해 인터넷 상황이 좋지 못한 탓에 취소됐고, 율리아 클리멘코 등 다른 의원 두 명이 축사를 이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황 위원은 대만 입법원에서 현재 당파를 초월한 41명의 입법위원이 협회에 가입을 했다며 이는 국회 의석수 30% 이상을 차지한다고 밝혔다. 이들 모두 우크라이나와 우호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대만-우크라이나 우호협회는 우여곡절을 겪어 왔고 최종 절차가 완료되지 않았지만 본격적으로 활동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의 압력이 양국 관계를 강화하겠다는 구성원들의 결단을 꺾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이달 말 우크라이나 국회의원 방문단이 대만을 찾을 예정이다. 이들은 미국 민주주의기금회(NED)의 ‘세계민주주의운동대회’에 참가차 대만을 방문한다. 대만은 대면 교류를 통해 우크라이나인들이 대만을 더욱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중국 언론은 비정부기구 민주주의기금회가 대만을 개최지로 삼은 것에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고, 이 조직이 다른 나라의 내정을 간섭하고 정권 정복을 목적으로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대만을 방문하는 율리아 클리멘코 우크라이나 의원은 “우크라이나는 물리적 공격과 전투에 저항하고 있고, 대만은 정치적으로 싸우고 있다”며 “우리는 전 세계 민주주의가 단결하고 민주주의와 자유의 미래를 함께 수호하며 계속해서 세계 민주주의 질서를 잡기 위해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어 “대만 국회의원들과 교류 등 정치, 비즈니스 및 문화 간의 교류를 심화하기를 기대한다”며 “우크라이나를 지원해 준 대만에 감사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은 단순히 양국 문제가 아니라 민주주의와 권위주의의 전쟁이기도 하다”며 “대만과 우크라이나는 더욱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보도된 대만 뉴스를 종합하면, 대만은 물론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도 대만과의 교류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수교국 중국이 중립적인 입장을 공식 밝혔지만, 우크라이나인이 실제 느끼는 것과 다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만은 우크라이나에 대표처 설립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류정엽 대만 통신원 koreanlovestaiwan@gmail.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국수 먹고 기절한 여성, 23명이 집단 강간…‘강간공화국’
  • “여보, 우크라 여성 강간해도 돼”…남편 부추긴 아내의 결말
  • 50대 아동부 장관 “15세 소년과 성관계, 임신-출산 인정
  • 美 여객기 랜딩기어에 몰래 탔다가…두 10대 청소년의 비극
  • 美 여행 한국인 여성 3명 실종…‘22중 연쇄 추돌사고’가
  • 중국이 중국했다?…“지진에 무너진 917억짜리 건물서 ‘짝퉁
  • 공중서 ‘쾅’…프랑스 공군 곡예비행팀 에어쇼 연습 중 충돌
  • “푸틴은 곧 죽는다. 이건 팩트”…끊이지 않는 ‘예언’, 증
  • 총 850m 교량으로 탱크 상륙…위성으로 본 대만 침공용 中
  • ‘생존 한계’ 시험할 폭염 온다…‘4월 기온 49도’ 찍은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