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매체 경제관찰보는 ‘미국이 교육과 과학기술, 인적자원 개발 등의 부문에서 모두 초강세를 보이며 1위 자리를 고수했고 이어 한국이 2위를 차지했다. 3위부터 9위까지 각각 덴마크와 싱가포르, 일본, 영국, 이스라엘, 중국, 스웨덴 등이 이름을 잇따라 올렸다’면서 해당 보고서 내용을 대대적으로 11일 보도했다.
이번 조사는 중국세계화센터와 중국교육학회, 베이징과학기술대학 등 공동 연구팀이 참여, 세계 각국의 인재 규모와 과학 연구소 운영 규모, 연구 개발 분야에 대한 투자 금액 등을 고려해 평가했다. 중국은 이번 성적과 관련해 ‘상위 순위는 모두 선진국이 차지했다’면서 ‘세계 경제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만큼 글로벌 인재의 영향력이 과거 유럽과 미국에서 점차 아시아 국가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에 집중하는 분위기다.
실제로 1~9위까지 글로벌 인재 경쟁력 상위 순위에 이름을 올린 국가는 미국과 유럽 국가들이 5곳, 아시아 국가 4곳 등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연구소는 ‘중국이 올해 8위를 차지했으나 현재 중국이 가진 전 세계 경제적 위상과 비교했을 때 다소 뒤쳐진 성적’이라고 혹평했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가 최근 당국이 배포한 시진핑 국가주석의 제20차 업무보고서에 인재 확보와 혁신이 거듭 강조, 수록된 직후 공개된 내용이라는 점에서 관심은 더욱 집중된 분위기다. 시 주석은 업무보고서를 통해 “인재가 최고의 자원이며 혁신이 최고의 추동력임을 견지해야 한다”면서 “교육과 기술, 인재가 중국 현재를 근본적이고 전략적으로 지원한다”고 거듭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조사 결과, 중국이 인재 규모 면에서 인도와 러시아 등을 제치고 압도적인 규모를 자랑한 반면 고급 인재 양성과 공급 부문에는 뚜렷한 우위를 점하지 못했다는 점이 공개돼 시정돼야 할 문제로 지적됐다.
중국은 이번 조사에서 인재 규모와 투입 환경 부문에서 79.08점을 받아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고급 인재 부문을 측정하는 근로자 평균 교육 연수와 기대 교육 연수, 노동생산성 등의 지표에서 18.83점이라는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
이와 관련해, 칭화 국가전략연구소 셰마오쑹 연구원은 “중미 경쟁은 무역 전쟁에서 시작됐지만 곧 기술 전쟁으로 비화됐다”면서 “기본적으로 인재 전쟁에서 승리하는 것만이 장기적인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했다.
임지연 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