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중국 국무원이 지난 7일 돌연 ‘코로나19 확진자의 자가격리 허용 통보’를 공고하며 위드코로나로 급선회하는 첫 조치를 취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지금껏 코로나19의 높은 감염 가능성과 확진 후 후유증 등의 고충에 주로 집중, 대처했던 방역 당국이 돌연 오미크론 바이러스의 후유증은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밝힌 원인에 궁금증이 모아진 분위기다.
이에 대해 그동안 함구로 일관했던 중국이 국영방송인 중앙TV(CCTV)를 통해 첫 공식 입장을 11일 내놓았다. CCTV는 홍콩대 연합바이러스학연구소 주화천 부소장의 발언을 인용해 “후유증이라는 표현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면서 “후유증은 환자가 장기간 앓는 증세로, 바이러스 감염 이전으로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편파적인 느낌을 준다. 하지만 오미크론 바이러스 감염자의 경우 후유증이라고 부를 만큼 심각한 증상을 경험하지 않는다”고 입을 열었다.
주화천 부소장은 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심각한 후유증을 앓게 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독성이 강한 델타 바이러스과 다르게, 현재 보고되고 있는 오미크론 변종 바이러스의 사례는 감염 후에도 빠른 회복과 후유증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라고 중국 방역 당국과 동일한 입장에서 설명했다.
다만 그는 14억 중국의 인구 상황과 관련해 해외 각국의 사례와 다른 측면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의학자로의 매우 조심스러운 목소리도 냈다. 주 부소장은 “바이러스라는 것은 끊임없이 확산되고 번지는 과정 속에서 수많은 변화 양상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면서 “그러나 그것이 어떤 식으로 변종될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 방역 정책이 마주한 가장 큰 난제다. 더욱이 중국의 제외한 해외 각국의 경우 수많은 전염 사례와 감염자의 사망 등을 경험했으나 중국은 그들과 다른 제로코로나 방역으로 관련 사례나 그에 대한 연구 자료가 소수에 불과하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바이러스학 전문 연구자로 향후 변종 바이러스를 추적, 관찰해 이전보다 더 철저하게 연구해야만 추가 변종 바이러스로부터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입장을 강하게 피력했다.
그는 바이러스 추적 연구를 멈출 수 없는 군비 경쟁에 빗대면서 “세계 각국이 매년 군비 경쟁을 벌이는 것처럼 변종 바이러스 역시 인간의 방역 의지와 무관하게 빠르게 전파하고, 계속해서 변종 바이러스를 생산할 것이 분명하다”면서 “인간이 이에 대응해 강력하게 힘을 합쳐야만 향후 어떤 방식으로 변화될지 모르는 바이러스의 침투로부터 건강한 내일을 기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지연 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