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접근이 쉽지 않은 밀림지역 탐사를 위해 연구팀은 첨단기술 라이다를 활용했다. 라이다는 레이저 펄스를 발사해 그 빛이 대상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받아 물체까지 거리 등을 측정하고 물체 형상까지 이미지화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로 과테말라 북부 밀림지역을 스캔해 울창한 숲과 땅을 뚫고 지하에 묻혀 있는 유적을 찾아냈다.
유적이 발견된 곳은 분지와 산맥이 연결돼 있는 미라도르-칼라크물이라는 곳이다. 라이다 스캔으로 확인된 유적지의 규모는 1000㎢ 이상이다. 417개 이상의 도시와 마을이 모여 있었다. 분지에서 발견된 주거지는 775개, 산맥 주변의 주거지는 최소 189개로 확인됐다.
놀랍게도 마을과 주거지는 깔끔하게 깔린 길로 연결돼 있었다. 라이다 스캔으로 확인된 유적지 내 길을 모두 연결하면 최소한 180㎞ 길이였다. 연구팀은 “최소한 2000년 전의 거주지역에 인프라가 구축돼 있다는 건 매우 놀라운 일”이라고 밝혔다.
길은 마을과 마을로 연결돼 있어 당시 왕래가 왕성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고도로 발달한 인프라는 마야문명 주거지역의 인구밀도가 높았다는 사실을 암시하는 것일 수 있다. 대개 마야문명 주거지역의 인구밀도는 높지 않았을 것이라는 학계의 가설을 깰 수 있는 과학적 증거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마을에는 물길의 흔적도 남아 있었다. 사방으로 길이 뚫리고 물이 공급되는, 당시로선 첨단 도시가 들어서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는 단서다.
지하에 매몰된 유적지에는 복수의 피라미드 흔적도 남아 있었다. 피라미드는 행정적 또는 종교적으로 중요 역할을 하는 마야도시에 들어섰던 시설이다. 도시와 마을엔 오락시설도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라이다 스캔을 통해 연구팀은 마야인들이 즐기던 공놀이 구장으로 추정되는 유적도 확인했다. 길이 20m 규모의 공놀이 구장은 최소한 30개 들어서 있었다. 마을마다 주민들이 공놀이를 할 수 있었다.
현지 언론은 “첨단기술이 미래를 열어갈 뿐 아니라 과거를 찾아주기도 한다”면서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직접 발굴하지 않아도 땅 밑에 숨어 있는 고대 유적을 복원할 수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남미통신원 임석훈 juanlimmx@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