궈타이밍 전 회장은 지난 1일 한 강연에서 남부 가오슝시 반핑산에 소형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제안했다. 삽시간에 논란이 거세지자 그는 페이스북에 경솔했다며 사과의 글을 올렸다.
하지만 2일 그는 가오슝시에서 열린 좌담회에서 소형 원자력 발전소 건설이라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해외에서 착안한 것으로 각 시와 현(지자체)마다 발전소 하나를 건설해야 한다고 말했다.
궈 전 회장은 “외국은 이미 핵융합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했다”며 자신이 외국 과학자들과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그는 TSMC를 통해 세계에서 대만의 역할을 볼 수 있다며 대만 기술 발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정된 전기 공급으로 현재 총통 후보들이 기피하고 있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여당 민진당이 비핵화 국가를 선언했지만 대만 경제와 기술산업 발전에 모두 전기가 필요하다”면서 “이는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전기가 없으면 모든 것이 공허한 이야기”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국가의 전쟁 준비에는 과학 기술 산업, 특히 현재 군사 연구 및 무인 항공기 개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 대만은 이런 혁신적인 연구를 위해 관련 인재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모든 이들은 에너지가 필요하지만 자기 집에는 건설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이들의 심리를 이해하고 있다”면서도 해외에서 연구 중인 새로운 원전의 면적은 면적의 10분의 1에 불과하기 때문에 대만의 모든 현과 시에서 건설 부지를 평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만은 매년 여름철이 되면 전력 부족 이야기가 끊이질 않는다. 최근 실시된 설문조사에서는 민진당 정부가 추진 중인 탈원전에 반대한다고 답한 사람이 무려 44%에 달했다. 찬성은 33%였다. 민진당 정부는 2025년까지 탈원전 국가를 만든다는 목표를 갖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전력 부족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탈원전을 추구하는 대만은 대부분 석탄 및 천연가스 발전에 의존하고 있다. 이 둘의 발전량은 지난해 기준 80%에 이른다. 원자력과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8%대에 그쳤다.
3일 대만 천젠런 행정원장은 이에대해 국민 대다수가 4차 원전 재가동에 반대하며 탈원전 국가와 탄소배출량 제로가 합의되었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소형 원전이나 핵융합 같은 원자력에 대해서는 안전성, 가격, 기술 문제에 대해 “아직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 일을 신중하게 계획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장즈하오 민진당 대변인은 ”궈타이밍의 발언은 터무니없다“며 ”민진당 간부들은 걱정스러움과 분노를 느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국민당 총통 경선이 아무리 치열하다해도 공인들은 더 큰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류정엽 대만 통신원 koreanlovestaiwan@gmail.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