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에 따르면, 하워드는 코로나19로 약 4년간 중단됐다가 최근 재개된 ‘총통부에서 하룻밤 숙박하기’ 프로그램 홍보 영상에 전격 출연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 프로그램은 대만 총통부에 외국의 유명 인사들을 1박 2일로 초청해 대만의 전통 문화와 대표적인 관광지 등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된다.
그런데 이 홍보 영상에 출연한 하워드가 “대만에 오고 난 뒤에 이 나라에 대해 이전과는 다른 완전히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됐다”고 발언한 것이 중국 매체들과 네티즌들 사이에 문제가 된 것이다. 그는 지난해 대만 T-1리그의 레오파즈와 연봉 100만 달러 이상을 받고 정식 계약을 맺은 뒤 줄곧 대만 리그에서 뛰고 있다.
이 홍보 영상 속 하워드는 대만 리그로 이적한 뒤 줄곧 대만에서 생활하며 경험한 것을 설명하면서 대만을 ‘국가’로 호칭했는데, 해당 영상이 공개된 직후 중국에서 예기치 못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양상이다. 특히 해당 영상에는 대만에서도 가장 강경한 반중, 독립 성향의 정치인으로 꼽히는 라이칭더 부총통이 함께 출연한 것도 이 같은 비난을 사는 결정적인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라이칭더 부총통은 대만의 집권 여당인 민진당의 차기 대선 후보로 알려진 인물로, 현 대만 총통인 같은 당 소속의 차이잉원 보다도 더 강경한 독립 성향을 지닌 것으로 알려졌다.
영상 속 하워드는 라이칭더 부총통에게 “정말 총통부에서 숙박할 수 있다는 것이 사실이냐”고 물었고 이에 그는 “맞다. 그게 대만이 자유국가인 이유다”고 답변했다.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눈엣가시와 같은 라이칭더 부총통의 ‘자유국가’라는 발언과 하워드가 이를 인정해 사실상 반중 성향을 공공연하게 드러낸 것이라는 악성 댓글이 끊임없이 게재됐다.
또 상당수 중국 네티즌들은 대만을 ‘국가’라고 발언한 하워드에게 “즉각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임지연 통신원 cci200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