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나에게 필요한 책을 고르는 3가지 방법…제목, 작가소개, 닫는 글 [문장음미]

작성 2023.07.07 09:41 ㅣ 수정 2023.07.07 09:55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세계 이슈 케챱 케챱 유튜브 케챱 틱톡 케챱 인스타그램
<편집자 주> 화려한 단어로 쓰인 꾸며진 글보다 어설픈 단어로 쓰인 솔직한 글을 더 좋아한다. 누구나 쉽게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글을 ‘잘 쓰인 글’이라고 여긴다. 항상 그런 글을 쓰기 위해 애쓴다. 시중서점보다 독립서점을 더 좋아하고, 유명 작가의 강연보다 일상에서 만난 좋은 사람들과의 대화를 더 애정한다. 이러한 나의 결과 일치하는 책을 고르고 그곳에서 좋은 문장을 수집한다. 수십장의 지면을 빼곡히 채운 글을 읽는 건 누구에게나 수고롭고 피로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상에 지칠 때면 언제나 책을 펼친다. 빼곡한 글 가운데엔 항상 그때의 내게 필요한 ‘한 문장’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찾은 한 문장에서 위안을 얻고 나면 다시 나아갈 수 있을 것만 같다. 책에 대한 이야기 ‘문장음미’를 통해 그 위안을 많은 사람들에게 선물하고 싶다. ​ 
확대보기
▲ 일상에 지칠 때면 언제나 책을 펼친다. 빼곡한 글 가운데엔 항상 그때의 내게 필요한 ‘한 문장’이 있기 때문이다.
외출할 때면 항상 책을 챙긴다. 책을 읽고 싶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버스보다 지하철 타는 것을 더 선호하고, 북페어와 같은 책 관련 행사에 참여하면 시간 가는 줄 모른 채 4~5시간을 보낸다. 일주일에 한 번은 혼자만의 시간을 오롯이 마련해 책을 읽는다.

이는 책에 조예가 깊은 사람들의 일상이며, 그들이 들어와 있는 세계이다. 하지만 우리 주변에 이 세계를 아직 알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 ‘책 읽어야지’ 마음먹고 구매한 책을 완독하지 못한 채 인테리어용으로 사용하거나, 새해 목표를 '독서'로 정한 뒤 꾸역꾸역 책 읽는 과정이 고통스럽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책 고르기를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해 나만의 ‘책 고르는 방법’을 소개한다. 



책의 어느 곳에서든 나만의 "한 문장"을 발견하자

책을 자주 접하지 않는 이들은 책을 고를 때 순서 없이 책을 살피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표지가 예쁘거나 자극적인 제목의 책을 꼽아 속독하듯 훑고 금세 다른 책을 집는다. 이런 방식으로는 좋은 책 또는 자신에게 필요한 책을 고르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한 문장’이 담긴 책을 고르기 위해선 책의 시작(표지, 작가소개, 여는 글)과 끝(닫는 글)을 천천히 살펴볼 수 있어야만 한다.

필자는 책을 고를 때 ‘제목’→ ‘작가소개’ → ‘여는 글’→‘닫는 글’ 순으로 책을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내게 필요한 책인지, 책 안에 내 마음을 동하게 할 문장이 실려 있을지를 판단한다. 책을 쓸 때 작가의 품이 가장 많이 드는 곳이 책의 ‘시작’과 ‘끝’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인이 작가가 되었고 책을 써야 한다고 상상해 보자. 그러면 이 말에 동감할 것이라고 감히 생각한다.

이에 자신 있게 말한다. 작가의 시간과 정성이 가장 많이 깃든 부분을 자세히 살펴봐야만 좋은 책, 내게 필요한 책을 고를 수 있다. 다음 단락에서는 필자가 최근 구매한 세 권의 책을 어떠한 동기로 구매했는지 공유하고자 한다. 

 

확대보기
▲ 무라카미 하루키의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제목에 끌린 책이다.
①​‘제목’에 끌린 책, 하루키의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제목’에서부터 책을 사고 싶은 마음이 들면 가장 좋다. 필자는 러닝(Running)에 한창 빠졌을 때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발견했다.

취미의 일환으로 매주 2회 이상 5~10km 러닝을 해왔고, ‘2023 서울신문 하프 마라톤’에 막 참가 신청을 했을 무렵이었다.

제목을 읽는 순간 세계적인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과연 달리기를 어떻게 표현할지 기대가 됐다. 그의 글은 역시 잘 읽혔다. 모든 러너들을 대신해 달릴 때의 감정을 글로써 구체적으로 표현했다. 이렇게 마음에 든 책 안에는 언제나 마음을 동하게 하는 ‘한 문장’이 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였다. ‘무너지지 않는 사람’이 되고 싶은 나의 가치 기준을 무라카미 하루키가 책의 마지막 페이지에서 남겨주었다. 다음은 그가 책에서 말했던 본인이 바라는 자신의 묘비명이다.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그리고 러너)

1949~20**

적어도 끝까지 걷지는 않았다.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中, 무라카미 하루키」

 

확대보기
▲ 최은영의 ‘밝은 밤’은 작가 소개를 읽고 구매한 소설이다.
②‘작가 소개’를 읽고 구매한 소설, 최은영의 ‘밝은 밤’

“내게는 지난 이 년이 성인이 된 이후 보낸 가장 어려운 시간이었다. 그 시간의 절반 동안은 글을 쓰지 못했고 나머지 시간 동안 ‘밝은 밤’을 썼다. 그 시기의 나는 사람이 아니었던 것 같은데, 누가 툭 치면 쏟아져 내릴 물주너미 같은 것이었는데, 이 소설을 쓰는 일은 그런 내가 다시 내 몸을 얻었고, 내 마음을 얻어 한 사람이 되어가는 과정이었다”(최은영 작가의 ‘밝은 밤’ 중에서) 

책 표지를 한 장 넘기면 바로 보이는 작가 소개란에 실린 글이다. 나는 이 글을 읽는 순간 이 책이 어떤 내용을 다루는 소설인지 더 이상 중요하지 않았다.

글을 쓰는 건 작가의 업인데, 업을 할 수 없는 상태를 극복한 뒤 결국 해내고만 ‘업’의 결과물이 궁금할 뿐이었다. 덕분에 300페이지가 넘는 책을 한순간의 지루함 없이 완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역시 본 책의 마지막 페이지에도 선물 같은 "한 문장"이 있었다. 두려워도 계속 나아가고자 애쓰는 나의 인생관을 상기시킨 한 문장. 

“무서워서 떨면서도 발걸음을 옮기는 사람. 나는 어머니를 닮고 싶었어요” (‘밝은 밤’ 중에서) 

확대보기
▲ 다섯지혜의‘잘하고 있다는 느낌’은 ‘닫는 글’을 읽고 궁금을 불러 일으킨 책이다.
③‘닫는 글’을 읽고 궁금을 불러 일으킨 독립서적 ‘잘하고 있다는 느낌, 다섯지혜’

“글을 쓰고 그 글을 엮어 제 책을 만드는 일을 저는 몹시 좋아합니다. 하지만, 이미 좋아하는 것을 자기 조절 실패와 그 밖의 여러 이유로 떠나보낸 경험이 있기에 좋아하는 마음보다 '언제까지나 오래도록 좋아하는 마음을 지키고 싶은 마음'을 위한 노력이 제게 더 중요함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잘하고 있다는 느낌’ 중 다섯지혜에서) 

독립서적 ‘잘하고 있다는 느낌’은 ‘닫는 글’에 실린 위 문장을 읽고 구매하게 됐다. 글을 읽는 순간, 과거부터 현재까지 좋아하는 시간을 잃어버렸던 나의 선택들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선생님이 되는 걸 포기하고 일반 대학에 진학했을 때, 사랑하는 사람에게 결국 이별을 고했을 때, 어렵게 취업했던 첫 직장에서 내 발로 퇴사했을 때, 그리고 책과 관련된 일을 하고 싶었지만 실천하지 못했을 때.

이처럼 좋아했기 때문에 지키고 싶었지만 결국 그러지 못했던 모든 순간들이 주마등처럼 스쳐 갔다. ‘닫는 글’에 실린 몇 줄의 문장이 이렇게 나의 마음을 동하게 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을 구매하지 않을 수 없었다.

우동희 칼럼니스트 wsiwdh@hobanhnr.co.kr

추천! 인기기사
  • ‘이상한 성관계’ 강요한 남편…“부부 강간 아니다” 법원 판
  • 1살 아기 성폭행한 현직 경찰, ‘비겁한 변명’ 들어보니
  • 마라톤 대회서 상의 탈의하고 달린 女선수에 ‘극찬’ 쏟아진
  • 아내와 사별 후 장모와 결혼식 올린 인도 남성…“장인도 허락
  • 女 400명 성폭행하는 정치인 영상 ‘발칵’…“2900여개
  • 14세 소녀 강간·임신시킨 남성에 ‘물리적 거세’ 선고…“가
  • 비극적 순간…도망치는 8살 아이 뒤통수에 총 쏴 살해한 이스
  • “내가 남자라고?”…결혼 직전 ‘고환’ 발견한 20대 여성
  • “용의자 중 11살짜리도”…소년 12명, 14세 여학생 집단
  • 온몸에 철갑 두른 러 ‘거북전차’ 알고보니 전략 무기?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