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드 투어는 귀족 자제들의 대륙 기행이었으므로 여행과 교육을 주관할 교수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그랜드 투어는 대개 2명의 교수가 동행했다. 한 명은 학문을 가르치고 다른 한 명은 승마, 펜싱, 사교 등을 가르쳤다.
귀족들은 자신들의 아이를 책임질 교사로 옥스퍼드나 케임브리지 대학 교수를 선호했다. 그랜드 투어 의뢰를 받은 대학 교수들은 자신의 연봉 2~3배(혹은 3~4배)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그랜드 투어를 진행했다.
많은 인력을 대동한 그랜드 투어그랜드 투어는 대륙 내에서 원활한 이동을 위해 통역, 마부나 짐꾼, 경호 인력도 필요했다. 또한 숙박과 끼니를 해결하기 위해 음식과 세탁을 돕는 이들까지 초기 그랜드 투어는 많은 인력을 대동했다.
더욱이 그랜드 투어가 대륙을 여행하는 것이므로 이를 기록할 사람들도 필요했다. 기록을 담당할 사람들 가운데 그랜드 투어 그룹에 화가가 포함되기도 했다.
여행 기념품의 등장점차 그랜드 투어가 대중화되면서 인력과 경비가 축소, 간소화되었다. 숙박과 끼니는 호텔이 그 역할을 대신했으며 운반과 교통편은 현지에서 조달 가능했다. 경비 절감 차원에서 화가를 대동할 수 없는 그랜드 투어 여행객들은 현지의 풍경을 그린 그림들을 구입하기 시작했다.
그림에 대한 수요가 있으니 이에 대한 공급도 따랐다. 로마 개선문이나 콜로세움과 같은 로마 유적지를 그린 그림이나 베네치아의 운하를 그린 그림이 여행객들에게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방처럼 컸던 초기 카메라대표적인 베두타 화가는 카날레토로 알려진 조반니 안토니오 카날(Giovanni Antonio Canal, 1697~1768)이다. 베네치아의 풍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카날레토의 베두타가 인기가 있었다.
카날레토가 사진처럼 생생한 그림을 그릴 수 있었던 이유는 초기 사진기 방식을 따랐기 때문이다. 카날레토는 창문 없는 방에 구멍을 뚫어 반대 벽에 투사된 형태를 따라 그렸다. 이 방식은 오늘날 사진기 원형에 해당한다. 여기서 ‘방’을 의미하는 라틴어 ‘카메라(camera)’가 유래했으며 이후 19세기 사진기로 축소, 발전한 것이다.
한 장의 그림, 한 장의 추억베두타는 그랜드 투어의 기념 상품이었다. 오늘날 우리가 여행지에서 엽서를 사는 행위와 같은 것이다. 그랜드 투어 여행객들은 고향으로 돌아가 베두타를 보며 여행지에서의 추억을 얘기했다. 한 장의 그림은 이렇게 시간과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게 한다. 여행지에서 남는 것은 사진밖에 없다는 말은 사실로 입증되었다.
이미경 연세대 연구교수·미술사학자 bostonmural@yonsei.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