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스의 지하터널은 사방팔방으로 얽혀있어 매우 복잡하고 규모도 방대해 하마스의 최대 무기이자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지상작전을 어렵게 할 주요 변수로 꼽힌다.
해당 지하터널의 길이는 300마일(약 483㎞)에 달하며, 깊이도 최장 약 40m로 이스라엘군의 공습을 피하는데 제격이다.
또 지하터널이 가자지구 내 다양한 장소와 건물을 거미줄처럼 잇고 있으며, 터널과 터널 사이에 수많은 부비트랩까지 설치돼 있어 사전 정보 없이 접근할 경우 병력 피해가 불가피하다.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의 25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군은 지상작전의 최대 난관으로 꼽히는 하마스의 지하터널을 돌파하기 위해 일명 ‘스펀지 폭탄’을 준비 중이다.
스펀지 폭탄은 비닐봉지에 두 종류의 액체를 분리해 담아놓은 형태로, 내부에 폭발 물질이 들어있지는 않다.
다만 액체를 분리해놓은 금속막대를 제거한 뒤 이를 던지면, 내부 액체가 섞이면서 거품이 생기고, 팽창과 단단해지는 단계를 거치면 터널 틈새를 막는 형식이다.
이스라엘군은 스펀지 폭탄을 이용할 경우 이스라엘군이 지하터널에 진입했을 때 하마스의 매복 공격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스라엘군은 2021년 남부 체렐림 군사기지의 모의 터널에서 스펀지 폭탄을 배치하는 모습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 모의 터널은 하마스의 지하 터널을 의도하고 만들었으며, 모의터널과 스펀지 폭탄을 이용한 해당 훈련은 하마스가 장악한 가자지구의 전면전을 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텔레그래프는 “이스라엘군의 ‘비밀 병기’로 꼽히는 스펀지 폭탄이 액체 혼합물인 탓에 사용이 까다로우며, 이런 취약점 때문에 일부 이스라엘 병사들이 훈련 도중 시력을 잃기도 했다”고 전했다.
이어 “이스라엘 특수공병대는 스펀지 폭탄 외에도 지상‧공중 센서, 지표 투과 레이더, 지하에서 시야 확보가 가능한 특수 장비 등을 동원해 하마스 지하 터널을 찾아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이스라엘군은 지하의 극한 조건에서도 무리없이 작동하는 최신 무전기 및 드론도 구비한 상태다.
그러나 지하에서도 안전한 위치에서 작동할 수 있는 소형 드론과 동굴 안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전술 로봇 등을 동원해 하마스의 ‘최대 무기’인 지하터널과 맞설 예정이다.
시가전(戰) 전문가인 존 스펜서 미 퇴역 소령은 “지하전투는 수중에서 싸우는 것과 비슷하다”면서 “지하에서는 지상에서 사용하는 것 중 그 어떤 것도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또한 동일한 효을을 발휘할 수도 없다”고 설명해 하마스의 ‘땅굴’이 이스라엘에게 최대 난관이 될 것임을 시사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