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F는 “시파 병원은 가자지구에서 가장 큰 병원일 뿐만 아니라 하마스의 본부 역할도 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테러 기반 시설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만약 IDF 주장이 사실이라면 하마스가 무고한 민간인, 그것도 환자들과 의료진을 '인간 방패'로 쓰고 있는 셈으로 큰 비난이 불가피 하다. 특히 시파 병원을 비롯한 가자지구 곳곳의 병원들은 이미 수많은 환자들이 치료를 받고있으며 인큐베이터에 의지하고 있는 신생아도 수십 여명에 달한다.
그러나 이에대해 하마스 측은 병원을 지하 군사 인프라의 방패로 활용하고 있다는 이스라엘의 주장에 대해 "터무니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하마스 고위 관료 이자트 알 리시크는 "적군 대변인의 발언은 근거가 없다"며 "이러한 거짓말은 알아흘리 병원 폭격 사건보다 더 큰 우리 주민들에 대한 새로운 학살의 전주곡"이라고 주장했다.
이같이 양측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가운데 팔레스타인 민간인들의 피해는 계속 늘고있다. 특히 이스라엘군은 27일 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대한 지상 공격작전을 확대하면서 가자지구 내 통신이 전면 두절돼 주민들이 고립 상태에 놓였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