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카스트로 대통령은 TV연설을 통해 “청부 살인, 마약, 총기 밀매 등 갱단 관련 범죄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그 배경을 밝혔다. 이처럼 온두라스가 초대형 교도소 건설에 나선 것은 이웃 엘살바도르의 성공 사례를 따라하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엘살바도르의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은 갱단과의 전쟁으로 큰 성과를 거두며 올 봄에는 압도적인 지지율로 재선에도 성공했다. 스스로 ‘세계에서 가장 멋진 독재자’라고 부르는 부켈레 대통령은 2년 전인 지난 2022년 3월 27일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갱단과의 전쟁을 시작해 이들을 닥치는대로 잡아들이자 범죄율도 뚝 떨어졌다.
이 과정에서 건설된 ‘상징’과도 같은 곳이 바로 엘살바도르의 중남미 최대 규모의 초대형 교도소인 테러범수용센터(CECOT·세코트)다. 세코트는 엘살바도르의 수도인 산살바도르에서 약 70여㎞ 떨어진 테콜루카에 자리잡고 있다.
여의도 면적 절반 크기의 세코트는 8개 건물에 총 4만 명의 죄수를 수용할 수 있는 어마어마한 크기다. 이처럼 닥치는대로 갱단원들을 잡아들여 세코트에 가두자 실제로 범죄율도 뚝 떨어졌다. 엘살바도르 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살인 건수는 154건으로 2022년 495건에 비해 급격히 감소했다. 특히 지난 2019년 2000명 이상, 2020년과 2021년 각각 1000명 이상 사망한 것에 비하면 감소폭이 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온두라스 역시 엘살바도르를 참고로 갱단과의 전쟁을 벌여 현재 교도소 수감자 수가 1만 9500명으로 늘어난 상태로 이는 수용 인원인 1만 3000명을 이미 훌쩍 넘어선 상황이다. 온두라스 정부는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동부 지역 올란초 인근에 2만 명이 수용가능한 ‘긴급 감금센터’(CRE)를 즉시 건설할 계획이다. 한편 유엔 마약·범죄연구소(UNODC)에 따르면 온두라스 살인 범죄율은 인구 10만 명당 35.1명(2022년 기준)으로, 전 세계 평균의 6배(5.8명·2021년 기준)에 달한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