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일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TOI)에 따르면, 해당 영상에는 이스라엘 전투기가 발사한 미사일이 예멘 항구 내 대형 크레인 4대를 정확하게 타격하는 모습이 담겼다.
이스라엘군은 또 이스라엘 전투기가 작전 중 공중에서 연료를 보충하고, 공습 후 본토 기지로 무사히 복귀한 모습도 공개했다.
이른바 ‘편 팔’(Outstretched Arm)로 명명된 이번 작전에는 F-15와 F-16, F-35 전투기, 정찰기, 급유기 등 군용기 수십 대가 투입됐다.
이 중 급유기가 투입된 건 목표가 된 예멘 항구가 이스라엘에서 1800㎞ 이상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란의 지원을 받는 후티는 이번 공습으로 항구 내 크레인이 모두 파괴돼 이란 무기를 반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됐다. 이 같은 무기는 그간 홍해상의 상업 및 군용 선박과 이스라엘 본토를 공격하는 데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스라엘군은 크레인 외에도 연료 저장고 등 에너지 기반 시설을 겨냥했는 데 이는 후티 경제에 큰 타격을 준 것이라고 군 당국자는 설명했다.
이에 이스라엘군은 이번 공습이 후티 뿐 아니라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와 같은 다른 적대 세력에 대해 이스라엘은 호데이다 항구와 같이 이중 용도로 사용되는 기반 시설에 대해 공격할 능력 뿐 아니라 의지도 있다는 경고를 보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공습은 후티 드론이 지난 19일 새벽 이스라엘 최대 도시 텔아비브의 주거용 건물을 타격해 주민 한 명이 사망한 이후 이뤄진 대응이다. 후티는 지난 9개월 동안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를 지지한다는 명목으로 이스라엘을 향해 220발 이상의 탄도미사일, 순항미사일, 드론 등을 발사해 왔다.
이스라엘군 조사에 따르면, 후티의 이란제 개량형 사마드-3 드론은 예멘에서 이스라엘로 직접 향하는 경로가 아니라 2600㎞ 이상의 우회 경로로 비행해 텔아비브에 도달했다. 이 드론은 약 16시간 동안 공중에 떠 있었고 시속 148~185㎞로 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후티 드론은 예멘에서 홍해를 건너 서쪽 에리트레아로 날아간 뒤 북쪽 수단과 이집트를 거쳐 지중해에 도달, 이스라엘 서쪽에서 텔아비브에 접근하기 위해 방향을 틀었다고 군 당국은 보고 있다. 이 시점에서야 후티 드론이 정체불명의 표적으로 이스라엘 레이더망에 포착됐다는 것이다.
이에 이스라엘군은 이번 텔아비브 공격을 허용한 것에 대해 레이더 시스템을 분석하는 인원의 수를 두 배로 늘리고 지중해 공중 순찰 빈도를 늘리는 등 경계 태세를 강화해 후티의 보복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