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군에 이어 중국인 150명 이상이 동원됐다는 주장이 새롭게 나왔다.
AP통신은 1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가 중국 용병 150명 이상이 러시아를 위해 싸우고 있다고 주장했다”면서 “러시아는 SNS를 통해 용병들을 모집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 8일 엑스에 “우리 군이 동부 도네츠크 전선에서 러시아군의 일원으로 싸우던 중국 국적 남성 2명을 생포했다”며 영상을 공개했다.
공개된 영상에는 중국인으로 추정되는 남성이 두 손이 꽁꽁 묶인 상황에서 자신이 경험한 전선의 모습을 열심히 설명하는 모습이 담겼다. 그는 드론이 날아다니거나 폭탄이 터지는 모습을 직접 봤다며 의성어로 이를 묘사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당국이 중국 용병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의 연령대는 19~45세로 다양했으며, 군사 훈련을 위해 러시아에 도착한 날짜와 전투에 참여하기 시작한 날짜 등을 기록한 문서도 확인됐다.
지난 8일 영상에 등장한 생포된 중국인들에 대한 정보도 공개됐다.
우크라이나 당국은 생포한 중국인 포로가 각각 1991년생, 1998년생이며, 이들을 러시아가 억류하고 있는 우크라이나인 포로와 교환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현재 우크라이나에서 전투에 참여한 중국 용병의 수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면서 “중국은 우크라이나에서 싸우는 자국민에 대해 알고 있으면서도 이들의 모집을 눈감아주고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하도록 허가했다”고 비난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 외교부는 9일 “일부 중국인이 자발적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다만 상당수가 전쟁에 연루돼 있다는 (우크라이나 측의) 주장은 전혀 근거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중국 정부는 언제나 국민에게 분쟁 지역에 접근하지 말고, 어떤 형태의 무력 충돌에도 연루되지 말아야 하며, 특히 군사 작전에는 참여하지 말 것을 당부해왔다”고 강조했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