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그림 이상의 혁신적 발명품, 마담 조콩데의 미소 [으른들의 미술사]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루브르에서 만나다<3>: 인간 탐구의 끝판 ‘모나리자’
확대보기
▲ 레오나르도 다빈치, ‘모나리자’, 1503~1506, 패널에 유채, 53×77㎝, 루브르 박물관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작품은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모나리자’다. ‘리자 부인’이라는 뜻의 모나리자는 피렌체 상인 프란체스코 델조콘도의 부인으로, 루브르 박물관에서는 ‘마담 조콩데’(La Joconde)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루브르 박물관은 연간 1000만명에 달하는 관람객들의 편의를 위해 가장 큰 방에 ‘모나리자’를 걸어놓았다. 그러나 많은 관람객들에 떠밀려 모나리자를 충분히 감상하기는 쉽지 않다.

‘모나리자’가 이토록 유명한 이유는 당시 작품들과 다른 혁신적인 기술이 사용됐기 때문이다. 먼저 4분의 3면으로 앉은 모습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자세였다. 당시 그리스도나 성모만 정면상이었고, 일반 인물들은 비교적 그리기 쉽게 측면으로 그렸다.

다빈치는 모델의 자세로 이 세상에 없는 구도를 만들어냈다. 이 자세는 인물의 양감과 함께 자연스러운 모습을 구현할 수 있다. 다빈치 발명 덕분에 현대 초상화뿐 아니라 오늘날 입사용 원서 사진들도 이렇게 자연스러운 자세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무엇보다 가장 획기적인 발명품은 모나리자 미소다. 중세 시대는 신 중심의 사회로, 인간의 모든 활동은 금기시됐다. 사랑, 웃음, 슬픔이라는 인간과 관련된 모든 감정은 죄악이었다. 1000년 안팎의 중세가 끝나고 르네상스가 시작되면서 인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됐다. 그 시대를 살던 다빈치는 인간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러기 위해 해부도 마다하지 않았고, 시체 썩는 냄새가 코를 찔러도 그는 인간의 몸속 탐구를 멈추지 않았다.

다빈치는 미소의 비밀을 찾아냈다. 인간이 미소를 지으려면 몇 개의 근육이 움직이는지 연구하던 다빈치는 입가 주변의 근육과 뺨, 눈가 주변의 근육 44개가 만들어내는 가장 아름다운 곡선이 바로 미소라는 걸 발견했다.

다빈치는 날카로운 윤곽선으로 그린 것이 아니라 여러 번의 붓질을 통해 미소를 그렸다. 이 기법을 ‘스푸마토 기법’이라 한다. ‘안개 낀’이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스푸마토는 윤곽선을 여러 번 흐릿하게 칠해 경계를 없애는 방법이다.

윤곽선이 흐릿하기 때문에 모나리자의 수수께끼 같은 미소는 어느 날엔 수줍게, 어느 날엔 활짝 웃는 것처럼 보인다. 날마다 다른 빛의 양, 보는 사람의 위치, 그날의 기분에 따라 달리 보이기 때문이다. 관람객 각자의 행복 곡선이나 다름없는 ‘모나리자’의 신비한 미소는 500년 전 한 인간이 인간을 깊이 연구한 결과다.

이미경 연세대 연구교수·미술사학자 bostonmural@yonsei.ac.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TWIG 연예/이슈/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