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타운대학의 메디컬센터의 바오키 쉬 박사 연구팀이 찾은 이 유전자의 이름은 ‘Bndf’, 일명 ‘탐욕스러운 유전자’(Greedy gene)이다.
Bndf 유전자가 변형될 경우, 우리 몸은 충분한 음식물을 섭취했음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먹게 된다. 뇌가 ‘그만 먹어야 한다’는 신호를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결국 과도한 음식물 섭취로 체중과 지방이 늘어 비만으로 발전한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는 ‘짧은’ 버전과 ‘긴’ 버전 두 가지가 있는데, 긴 버전의 Bndf를 가진 사람의 경우 음식물을 그만 먹어도 된다는 사실이 여지없이 뇌에 전달하지만, 짧은 경우 반대의 상황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유전자가 변형돼 ‘짧은’ 버전이 되면 적당한 신호를 뇌에 전달할 수 없게 되며, 유전자의 변형 여부에 따라 섭취량이 2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길고 짧은 것은 태아가 자궁에 있는 초기 단계에 형성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유전자가 어떤 상황에서 변형되는지는 아직 확실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전문가들은 이 발견이 몸무게를 조절하는 뇌의 신호를 연구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 잘못된 신호전달체계를 수정해 비만을 예방하거나 고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밝히는 것 역시 비만을 극복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과학전문지인 네이처 메디신 (Nature Medicine) 최신호에 실렸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