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꿀벌은 미국자연사박물관의 곤충학자 존 애셔가 브루클린에 있는 프로스펙트파크에서 발견한 다른 90여종의 꿀벌 중 하나다.
브루클린이라고 하면 뉴욕 행정구 중 하나로 인구 250만명 이상의 대도시다. 따라서 꿀벌이 번식하기에 적절한 환경이다.
또한 이 벌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둔한 사람은 눈물을 빼았겼는지 조차 잘 알지 못하며 민감한 사람이 눈을 깜빡여도 잘 도망가지 않고 눈꺼풀 사이로 눈물을 채집한다.
코넬대학 양봉 전문가인 제이슨 깁슨은 장기간의 유전자 검사를 시행, 지난해 11월 이 꿀벌을 고담 애꽃벌(라시오글로썸 고담·Lasioglossum gotham)이라고 발표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고담 애꽃벌은 북미에서 발견되는 토종 꿀벌 수천 종 중 하나일 뿐이며 염분 이외에도 꿀을 따기 때문에 여전히 식물이나 꽃, 과일의 수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이들 벌의 침은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졌다.
70만마리의 벌 표본 목록을 관리 감독하는 존 애셔 박사는 “매일 새로운 유형의 토종 꿀벌이 발견되고 있다.”면서 “그 속도는 매우 빠르다.”고 말했다.
사진=코넬 대학
윤태희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