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미시간대학 사회연구소 연구진은 최근 개최한 미국 여론조사협회 연례회의에서 사람들이 문자로 대화할 때 말로 통화하는 것보다 더 솔직한 것으로 밝혀졌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를 이끈 프레드 콘라드 박사는 “이번 결과는 사람들이 전화 통화보다 문자 메시지로 대화할 때 민감한 정보를 더 숨기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는 글로만 표현해야 하는 문자 메시지의 한계점을 우리 스스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번 설문은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모집한 600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얼마나 운동하는가?’, ‘지난달 술은 얼마나 마셨는가?’, ‘최근 몇 편의 영화를 봤는가?’, ‘휴대폰에 몇 곡의 노래가 담겨있는가?’ 등의 사소한 질문을 문자 메시지와 전화로 묻는 것으로 이뤄졌다.
콘라드 박사는 “사람들이 문자 메시지를 통해 의도가 보이는 질문과 답변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윤태희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