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이 국가적인 자존심까지 내세우며 월드컵 경기 이상의 관심을 보이는 반면 그 외 나라에서는 대회가 열리는지도 모르는 국가들이 부지기수다. 하지만 일본이 생각하는 WBC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국가적인 차원으로 접근한다. 내년 3월이 되면 야구에 대한 열기는 보지 않아도 미루어 짐작할수 있을 정도인데 그만큼 대회를 준비하는데 있어 신중에 신중을 기할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대표팀을 맡을 감독 선임 역시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이미 두번씩이나 우승을 차지한 일본은 3회 대회 역시 우승을 목표로 한다. 일본 야구팬들의 엄청난 관심이 집중 될 WBC는 그래서 누가 감독을 맡더라도 그 부담감에서 자유로울수 없다. 기대대로 좋은 성적을 올린다면 모르겠지만 만약 우승을 차지 하지 못한다면 자국 국민들로부터 쏟아질 그 엄청난 비판을 감당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여곡절 끝에 WBC 참가를 선언한 일본은 아직 대표팀 감독이 선임 되지 않았다.
카토 료조 NPB(일본야구기구) 커미셔너는 감독 임명권을 오 사다하루(소프트뱅크 호크스 회장)에 일임했다. 제 1회 WBC 대회 감독을 맡아 우승을 차지한 바 있는 오 사다하루 회장은 일본 야구계에 있어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다. 하지만 오 사다하루 역시 감독 찾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최근 일본 언론에서 감독 후보감으로 거론되고 있는 인물은 시시각각으로 다르다.
5일에는 아키야마 코지(소프트뱅크 감독)가 대표팀 감독으로 유력하다는 기사를 쏟아내는 가 하면, 6일에는 전 히로시마 도요 카프 감독이었던 야마모토 코지, 그리고 7일엔 전 주니치 드래곤스 감독이었던 오치아이 히로미츠와 하라 타츠노리(요미우리 감독)까지 날이 바뀌면 감독 유력 후보의 이름이 바뀌고 있다.
이것은 그만큼 대표팀 감독 선임이 쉽지 않다는 걸 의미한다.
일단 오 사다하루는 현직 감독이든 전직 감독이든 정해져 있는건 없다고 밝혔다.
8일 야후돔을 찾은 오 사다하루는 그러나 수면 아래에서는 아키야마 코지 감독을 최우선 후보로 생각하고 있는듯 싶다. 아키야마는 오 사다하루가 회장으로 있는 소프트뱅크 호크스 팀의 감독이기에 설득할수 있는 시간이 많고 대화할수 있는 기회 역시 많다. 하지만 이미 아키야마 감독은 대표팀 감독직을 고사한 바 있다. 내년 시즌 개막 직전 WBC가 열리기에 아무래도 시즌 준비에 있어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오 사다하루 역시 이점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8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프로 12개팀 감독은 대표팀 감독직을 거절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그의 답변에서도 현역 감독이 대표팀 감독을 맡기란 쉽지 않음을 뜻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현역 감독이 배제되지 않겠느냐 하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한편에선 2회 대회 당시 요미우리 감독을 맡으면서도 대표팀 감독이 돼 우승까지 거머쥔 하라 타츠노리가 대안으로 언급되고 있다.
하라는 그해(2009년) WBC 우승과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정규시즌 우승, 그리고 일본시리즈까지 제패하며 최고의 한해를 보냈다.
시즌 후 한국시리즈 우승팀인 KIA 타이거즈와 맞붙은 한일 챔피언쉽도 요미우리가 승리하며 하라 감독은 그해 열린 모든 대회를 싹쓸이 했던 전례가 있다. 현역 프로 팀 감독을 대표팀 감독에 임명하더라도 소속팀 성적과는 별 차이가 없었다는 과거의 예를 들고 나온 것이다.
하지만 당시 하라 감독은 대표팀 감독을 맡아 달라는 NPB의 요구에 망설임 없이 곧바로 수용했다는 점에서 이번과는 상황이 다르다. 지금은 그때와는 달리 선수회의 대회 참가 여부 결정이 늦어지는 바람에 시간이 촉박하다. 4일 선수회의 WBC 참가 결정이 난 후 일본 언론에서 곧바로 하라 타츠노리 감독을 대표팀 감독 후보군으로 언급했던 것도 이때문이다.
오치아이는 와타나베 쓰네오(85) 요미우리 회장이 일찌감치 감독감으로 점 찍은 인물이다. 와타나베 회장이 지닌 야구계의 영향력을 감안하면 오치아이가 금방이라도 대표팀 감독에 선임될 것 같았다. 하지만 오치아이가 대표팀 감독을 맡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해 보인다.
현장 감독이 대표팀 감독을 맡기에 부담스럽다면 오치아이만한 인물이 없다. 하지만 오치아이 그 자신이 대표팀 감독 제의를 거절하고 있다. 오치아이는 일본야구계와 그렇게 친한 인물이 아니다. ‘독고다이’와 같은 스타일로 오레류(オレ流) 즉 타협하지 않고 나만의 길을 가는 독불장군 스타일이다. 그리고 자신이 주니치 감독 시절에 열린 제2회 WBC 대회에서는 소속팀 선수의 대표팀 차출을 거부했던 것으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는데 이러한 오치아이 성품을 감안할때 그가 대표팀 감독직을 수용할 가능성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해 급부상 한 인물이 바로 야마모토 코지 전 히로시마 감독이다.
야마모토는 두번에 거쳐 히로시마 감독(1989-1993, 2001-2005)을 역임했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때는 대표팀 코치로 참가한 전력이 있다. 하지만 현장을 오랫동안 떠나 있었고 히로시마 감독 2기 시절엔 한 단번도 팀을 A클래스(포스트시즌)에 올려 놓은 적이 없을 정도로 대표팀 감독을 맡기엔 역량에 아쉬움이 남는다.
베이징 올림픽 역시 코치로 참가했지만 당시 일본 대표팀 성적을 감안하면 안심하고 WBC 감독을 맡기엔 역부족이라는 평가도 있다.
일본은 이달 안에 대표팀 감독과 코칭스태프 구성을 마무리하고 1차 예비 엔트리 50-60명의 후보군을 확정한 후 본격적인 옥석가리기에 들어 간다는 계획이다.
사진=오 사다하루
일본야구통신원 윤석구 http://hitting.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