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사람들은 열심히 살았지만 희망이 없다고 한다. 이것은 단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금융위기를 맞이한 서방국가, 유럽에서도 예외는 아닌 듯싶다. 금융위기는 단순히 개인의 한계를 넘어선 시스템의 문제임을 알고 있지만 유럽 대도시는 사회복지제도가 비교적 잘돼있음에도 불구하고 빈민자와 거리 노숙자가 증가하고 있다.
자국민이 노숙인으로 전락하는 경우도 많지만 유럽내 저소득국가에서 소득이 높은 국가로 이동해 자리를 잡지 못하는 경우 노숙인으로 전락하는 경우가 50%는 된다고 알려져 있다. 유럽각국은 늘어나는 사회복지기금에 부담을 주는 노숙인 정착에 그나마 많은 예산을 편성하고 있지만 영국의 노숙인에 대한 시선은 우리를 부끄럽게 한다.
선진국의 노숙인은 이유가 어찌됐든 약물이나 알코올에 의한 자발적 노숙이 많다. 물론 각도시마다 수백개의 쉘터가 있지만 노숙인들은 대체로 스스로 찾아가지 않는다. 우리가 방문한 St.Mongos 노숙인 호스텔은 그야말로 호텔에 가까운 시설이었다. 노숙인이 편하게 쉬며 잘 수 있는 개인숙소가 있고 노숙인 회복을 위한 전문상담가와 자원봉사자 및 전문프로그램이 있다.
이러한 숙소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노숙인 사업을 하는 비영리단체에 무상으로 제공하고 각단체들은 시민과 국민을 상대로 홍보하며 운영비를 충당하고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기꺼이 그들의 주머니를 털어 자선과 기부를 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길거리 노숙인을 어떤 눈으로 보는가. 단지 이 사회의 거추장거리, 경쟁에 탈락한 사람으로 보고 있지는 않은가.
누가 우리의 이웃인가. 정치, 종교기관에서 목소리를 높이는 사람들이 이웃인가. 아니면 아무도 알아주지 않지만 자신의 시간과 비용을 감내하는 사마리탄인가 다시 한 번 생각해볼 때다.
대한민국은 왜 선진국으로 가려 하는가. 선진국은 돈을 좀 가지고 있는 나라가 아니라 소외된 계층을 나의 동료로 보는 사회가 선진국이라 칭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나라를 이루는 구성원들의 품격이 나라의 품격을 만들고 굳이 설명하지 않더라도 개개인 모든 삶의 역량이 합해진 것이 국가의 경쟁력이 아닐까 다시 생각해 본다.
하송우 제이테크컨설팅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