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파이트 클럽’의 주인공인 브래드 피트는 비행기 안에 설치된 산소마스크를 이용하면 추락할 때 정신이 몽롱해진다고 표현한다. 사실일까?
비행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고 있는 만큼, 기내의 다양한 시설 사용과 관련한 루머 또는 괴담도 많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은 비행기 탑승과 관련한 ‘오해와 진실’을 소개했다.
▲비행기 내에서 생산된 ‘배설물’은 공중에 버려진다 : 오해
미국연방항공청(FAA)에 따르면 비행기 내에서 생산되는 배설물은 비행기가 지상에 착륙할 때까지 저장탱크에 모아진다. 액체와 고체로 분리된 뒤 일부는 냉각돼 저장창고로 옮겨진다.
간혹 지상에서 ‘비행기에서 버린 오물을 맞았다’라는 신고가 접수되기도 하는데, 이는 항공기 기계 장치에서 누출된 유류이거나 새의 배설물일 확률이 높다.
▲기내에서 물을 마실 때에는 반드시 조심해야 한다 : 진실
2009년 미국에서 조사된 바에 따르면 기내에서 제공되는 물 7종 중 1종은 판매 기준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불량 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내에 제공된 물 중에서 대장균이 검출돼 논란이 일기도 했다. 차나 커피 등 따뜻한 음료도 조심해야 한다. 이러한 음료수 중에는 박테리아를 박멸할 수 있을 정도의 고온이 아닌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비행기 내 산소마스크를 쓰면 기분이 좋아진다? : 오해
영화에서는 기내에 설치된 산소마스크가 정신을 몽롱하게 해준다고 말하지만 이는 영화 속 대사일 뿐이다. 산소마스크는 비행기가 갑작스럽고 고도 변경을 하거나 기내 산소량에 문제가 생겼을 때 호흡을 도와주는 장치일 뿐, 산소마스크 속 산소를 흡입한다고 해서 기분이 달라지거나 몽롱해지지 않는다.
▲좌석에 딸린 트레이 테이블은 세균 투성이다 : 진실
비행기 내에서 숨만 쉰다면 병에 걸일 일은 없겠지만, 그 밖에 물품들로부터 병에 걸릴 확률은 존재한다.
2007년 미국에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미국 내 주요 항공사 3곳의 트레이 테이블(식사할 때 쓰는 작은 테이블) 60%에서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RSA)이 검출된 바 있다. MRSA는 치명적인 슈퍼박테리아로도 알려져 있다.
▲비행 중 비행기의 문을 열면 승객들이 밖으로 빨려 나갈 수 있다 : 오해
승객들이 머무는 곳은 공간은 압력이 매우 높아서 비행 중 비상문을 열어도 사람들이 빨려나가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게다가 반드시 비상문을 열어야 하는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비행 중 비행기 내의 어떤 문도 열 수 없다.
미국의 여객기 조종사인 패트릭 스미스는 “간단한 이유만 가지고서는 비행 중 비상문을 열 수 없다. 또한 기내의 압력 때문에 이를 열 수도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행기에서 술을 마시면 빨리 취한다 : 오해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가 없는 루머이며, 영국 일간지는 “아마도 이 루머는 승객들이 기내에서 제공되는 공짜술을 많이 마시기 때문에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기내 화장실에서 흡연은 금지돼 있지만 반드시 재떨이는 설치해야 한다 : 진실
규정상 기내 흡연은 금지된 것이 사실이지만 대부분의 비행기 화장실에는 재떨이가 의무적으로 설치돼 있다. 이는 혹여 담배의 유혹에 ‘굴복’한 승객들이 안전하게 담배꽁초를 버릴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데일리메일은 전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