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이한 점으로는 독일 젊은이들의 고학력 정도는 부모들의 사회적 출신이 절대적이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부모가 고학력자일 경우 그 자식들은 그렇지 못한 부모를 둔 자식들보다 2배가 더 많은 고학력 기회를 얻고 있다고 OECD 베를린 소장 하이노 폰 마이어씨는 밝혔다.
부모들이 고학력자일 경우 자식들의 58%가 고학력자들이며, 24%는 자식들이 부모보다 더 높은 학력 소지자들이고, 18%의 젊은이들만이 부모들보다 더 낮은 학력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고서에는 고학력자의 소득은 그렇지 못한 사람들보다 평균 74%가 더 많다며 이 수치는 OECD회원국 평균 이상이라고 폰 마이어씨는 비판했다. 이는 2000년 독일의 고학력자의 수입은 그렇지 못한 사람들보다 평균 45% 더 많았는데 갈수록 이 격차는 더 심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OECD 교육보고서는 실업률과 관련해서도 한 가지 분명한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주었는데, 바로 고학력자들의 실업률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보다 현저하게 낮았으며 이 현상은 국가가 경제위기에 처할수록 더 확연해진다고 밝혔다. 현재 독일 내 고학력자의 실업률은 2.4%에 불과하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실업률은 12.8%에 달한다.
그나마 독일에서 교육전문가들이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점이 있다면 갈수록 대학졸업자들의 숫자가 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독일 25세에서 64세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28%가 대학 졸업자들(이는 지금까지 이어져 온 독일 교육제도상 한국의 석사출신에 해당)이다.
하지만 요한나 반카 독일 연방교육부 장관은 “학업과 직접교육을 위해 독일의 젊은이들에게는 두 가지의 선택기회가 주어지는데, 두 가지 모두 직업적 미래를 위해 최상의 가능성이 제공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학졸업자나 대학을 졸업하지는 못했지만 자기 분야에서 전문가로 일하는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대우는 똑같다”고 말했다.
독일은 학력이 인격을 대변해주는 사회는 아니지만 소득 면에선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이번 결과가 보여주었다. 그렇다면 고소득이 삶의 행복지수와 반드시 비례하는 것일까? 반카장관의 말이 이를 답변해주고 있다.
사진 출처= dpa
최필준 독일 통신원 pjcho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