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식, 라섹, 렌즈삽입술 등 시력교정술은 첨단장비와 기술력이 향상되면서 나날이 발전된 형태로 업그레이드 되고 있다. 3D스마일과 같은 새로운 시력교정술의 등장으로 이제는 라식수술도 하나의 형태가 아닌 다양한 수술법이 생겨났으며, 이는 라섹, 렌즈삽입술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대표적인 예로 3D 스마일라식은 각막의 플랩을 만드는 라식수술의 과정이 생략돼 각막손상을 최소화했다. 아쿠아 ICL은 안내렌즈삽입술의 필수절차로 여겨졌던 홍재절개술을 생략했다. 기존의 라식, 렌즈삽입술의 원리상 필요하다고 여겨졌던 과정 역시 변화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많은 전문의들이 최근에 개발된 최신 시력교정술이라고 해서 모든 사람의 눈에 똑같이 적합한 수술방법은 아니라는 공통된 지적을 하고 있다.
라식과 라섹, 안내렌즈삽입술은 수술방법에 따라서 수술 대상자의 범위가 각각 다르며, 같은 라식수술이라도 각막두께 등의 여러 가지 눈 상태에 따라 수술 적합 여부는 달라질 수 있다.
대표적인 시력교정수술인 라식의 경우, 수술 후 잔여 각막두께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다면 원추각막 등의 부작용 우려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막절편을 만들지 않아 잔여 각막두께로부터 상대적으로 유리한 라섹수술 대상자가 될 수 있다.
또한 격한 움직임이 많은 운동선수나 소방관, 경찰관 등은 외부 충격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므로 라식보다 라섹, 3D 스마일라식의 대상자가 되며, 만일 각막에 상처나 질환이 있거나 초고도근시의 경우에는 레이저 시력교정수술이 아닌 안내렌즈삽입술 적합 대상이 될 수 있다.
서울밝은세상안과 이종호 대표원장은 "사람의 눈 상태나 모양은 지문처럼 모두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여러 이유로 최신 수술이나 특정 방법만을 고집한다면 당연히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 원장은 또한 “수술시기에 있어서도 안구성장이 멈춘 만 18세 이상이나 20세 전후의 연령대부터 시력교정술이 가능하다. 수능 후 찾아오는 학생들을 살펴보면 근시 진행이 멈추지 않아 부적합 판단을 받고 부득이하게 돌아가는 경우도 더러 있다”고 전했다.
한편 서울부산 밝은세상안과는 시력교정술 1세대 안과로, 12종 21대의 첨단 All Laser System 구축을 통해 개개인의 눈에 적합한 맞춤 수술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홍채절개술이 필요 없는 아쿠아ICL을 국내 최초로 도입하는 등 다양한 시력교정술 경험으로 31만 건 노하우를 쌓은 곳이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