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은 자기 '머리' 탓을 해도 될 것 같다.
최근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 연구팀이 금연에 실패한 사람의 경우 뇌 특정 부분의 활동이 금연에 성공한 사람보다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금연과 뇌의 특정 조직과의 관계를 밝힌 이 연구결과는 지난 6개월 동안 하루 10개비 이상 담배를 피운 18-65세 사이 금연 도전자 8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확인됐다. 연구팀은 먼저 금연 도전에 나선 이들 80명에게 마지막 담배를 피우게 한 후 MRI로 뇌를 촬영했다. 또한 금연 시작 하루 후 역시 MRI로 뇌를 재촬영 했다.
그로부터 1주일 후. 총 80명 중 61명이 '마의 유혹'에 다시 빠졌으나 19명은 금연에 성공했다. 재미있는 점은 금연 실패자와 성공자의 뇌 특정 부위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 점이다. 금연에 실패하고 다시 담배를 입에 문 사람의 경우 왼쪽 배측면 전전두엽 피질(lef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의 활동이 현저히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 부위는 뇌의 필수적인 기억력, 집중력, 목표 업무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한다.
연구를 이끈 제임스 로헤드 교수는 "금연에 실패한 사람 중 일부의 경우 단 하루 만에 뇌에 이같은 반응이 나타났다" 면서 "뇌만 보고도 이 사람이 금연에 성공할 지 실패할 지 알 수 있는 중요한 정보가 확인된 것" 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우리 연구결과로는 대략 80%의 정확도를 보였다" 면서 "향후 효과적으로 금연 성공 여부를 예측해 그 사람에 맞는 적절한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