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내성적일수록 살찌기 쉽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에모리대학 롤린스보건대학원 솔베이그 커닝엄 박사팀이 9세 어린이 8346명을 대상으로 11세가 될 때까지 추적 조사를 시행했다.
◇ 사회적 능력 저하가 비만과 관계
연구팀은 아동들의 사회적 능력과 키, 몸무게를 조사했다. 사회적 능력에 관해서는 “친구가 곧 생긴다”, “호감이 높다”라는 등 긍정적으로 답하는 아이인지를 두고 판단했다.
그 결과, 사회적 능력이 낮은 어린이는 몸무게가 늘어나는 경향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는 “친구가 되기 어렵다” “다른 아이들이 친절하지 않다”와 같은 말로 답한 내성적인 아이들이 이에 해당했다.
9세 때 사회적 능력이 낮다고 판단된 아동은 11세가 될 무렵에는 과체중이나 비만이 될 확률이 높았다. 그렇다고 9세 때 비만이었던 아이가 11세가 된 시점에서 반드시 사회적 능력이 낮다는 것은 아니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 운동 기피와 음식으로 스트레스 해소가 원인
이에 대해 커닝엄 박사는 “사회적 능력이 낮은 아이는 부정적인 사회적 피드백을 받는 상황을 피하고 싶어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즉 서로 경쟁하는 스포츠가 싫어 운동 부족이 되거나 사회 경험이 부족한 것에 관한 스트레스를 먹는 것으로 발산하는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는 것.
커닝엄 박사는 “내성적인 성격이 에너지 불균형이나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보건 저널’(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5년 1월호에 게재된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