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보다

[와우! 과학] ‘1억 1000만 년’ 역대 가장 오래된 ‘게의 조상’ 발견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현재 지구에는 우리의 식탁에 자주 오르는 꽃게, 참게, 대게를 비롯해 4,500종의 게가 살고 있다. 인간이 언제부터 게를 먹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게의 역사가 인류보다 훨씬 오래되었던 점은 확실하다.

과학자들은 적어도 백악기 후기부터 많은 수의 게 화석을 발견한 바 있다. 그리고 최근 남미 콜롬비아의 정글에서 백악기 초기의 게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화석은 지금까지 발견된 고등 게(higher crab) 화석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백악기 초기인 1억 1000만 년 전의 화석이다. 'Telamonocarcinus antiquus'라고 명명된 화석의 주인공은 등껍질이 아주 선명하게 보존되어 고생물학자가 아니라고 해도 게 화석이라는 것을 아주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단지 크기가 좀 작을 뿐이다.

이번에 발견된 고대 게는 크기가 작을 뿐이지 이미 게의 모습을 거의 완전히 갖추고 있다. 이것은 이보다 더 원시적인 게의 조상이 중생대에 서식했을 것이란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게는 절지동물 갑각류에 속하는 무척추동물로 더 세분하면 가재, 새우 등과 함께 십각목(Decapoda)에 속한다. 절지동물은 고생대 캄브리아기 시절부터 내려오는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십각목의 조상 역시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등 게의 조상 역시 중생대에 등장하게 되는데, 이미 과학자들은 고위도 지역에서 다수의 백악기 게 화석을 발견한 바 있다. 아마도 멸종된 화석 게의 종류는 1만 개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 화석을 발견한 캐나다 앨버타 대학의 자비어 루퀘(Javier Luque)와 그의 동료들은 이 화석이 게의 기원을 백악기 초기는 물론 쥐라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앨버타 대학의 연구팀은 백악기 전기 이전의 게 화석을 발견하기 힘든 이유가 바로 이들이 발굴이 어려운 위치에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들이 화석을 발견한 위치도 열대 우림이 울창하게 우거진 지역으로 노출된 지층이나 화석을 찾기가 매우 곤란한 지역이다. 따라서 앞으로 연구를 계속할 수 있다면 새로운 화석이 발견될 여지는 충분하다.

우리는 쥐라기나 백악기라고 하면 공룡부터 생각나게 마련이다. 하지만 사실 당시에는 공룡 말고도 여러 가지 재미있는 동식물이 많았다. 게의 조상 역시 마찬가지인데 백악기의 바다에 들어간다면 온갖 이국적이고 괴상한 해양 동물들 가운데 헤엄치거나 옆으로 걷는 게의 모습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고든 정 통신원 jjy0501@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