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베리라고 하면 ‘눈에 좋다’는 이미지가 있지만, 블루베리 사촌으로 북유럽에 자생하는 야생 빌베리는 건강효과가 높은 폴리페놀의 일종인 안토시아닌이 재배종 블루베리보다 훨씬 많이 포함돼 있다고 핀란드 학자들은 말한다.
이스턴 핀란드대학 연구팀이 이 빌베리에 고지방 음식에 의한 악영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염증은 중요한 생체 방어 기능 중 하나이지만, 장기화(만성)하면 다양한 폐해를 일으킨다. 비만이 되면 지방 세포가 부풀어 염증 반응을 나타내며,이 염증이 당뇨병이나 고혈압, 동맥 경화 등의 심장 질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3개월간 쥐들에 고지방 음식을 주는 실험을 시행했다. 일부 쥐에는 동결 건조한 빌베리를 5%나 10% 포함한 먹이를 줬다.
그리고 염증 세포와 염증 마커가 되는 사이토카인(면역작용 관여 단백질) 농도와 내당능장애 여부, 몸무게, 혈압 등의 변화를 비교했다.
그 결과, 염증 반응과 혈압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3개월 뒤 고지방 음식만 준 쥐들은 혈압과 체중의 증가 범위가 높고 염증 인자와 당대사, 지질대사가 모두 악화되고 있었다.
이와 달리 빌베리을 함께 섭취한 쥐들은 사이토카인 농도가 상승해 염증을 돕는 T세포의 확산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됐다. 또한 혈압 상승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빌베리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안토시아닌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빌베리는 신맛이 강해 북유럽에서는 전통적으로 잼이나 주스, 시럽절임 등으로 만들어 먹는다.
이스턴 핀란드대학의 연구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의 온라인 학술지인 ‘플로스원’(PLOS ONE) 최근호에 실렸다.
사진=ⓒ포토리아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