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아이를 두고 ‘천사’라는 표현을 쓴다. 이는 아이가 어른보다 선하고 착하며 훨씬 이타적이라는 의미를 함포한다.
'아이가 태초부터 선(善)하다’라는 인식은 인간의 본성이 선(善)이라는 학설인 성선설과 맥을 함께 하는데, 이를 두고 학계에서는 오랫동안 논쟁이 그치지 않았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대학 연구진은 “아이의 본성은 착하지 않다. 이후의 이타심, 이타주의는 환경적인 영향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생후 18개월의 아기들이 어떤 지시가 없이도 다른 아기를 도우려 하는 2006년도의 한 실험•연구결과를 예로 들었다. 당시 연구는 아기, 더 나아가 인간의 성선설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으로 평가된 바 있다.
하지만 당시 실험은 아기들에게 새로운 환경과 낯선 사람에 적응할만한 시간적 여유가 주어진 상태에서 실시됐기 때문에, 후천적으로 타인을 도우려는 이타심이 생겨난 것이라고 반박했다.
스탠퍼드대학 연구진은 새로운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1~2세 영유아 3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했다.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눈 뒤, 첫 번째 그룹에는 한 어른이 아이들과 함께 공 하나를 가지고 놀았고, 두 번째 그룹에서는 어른이 동참하되 아이들에게 각각 놀 수 있는 공 하나씩을 따로 주어 놀게 했다. 이른바 ‘평행놀이(Parallel Play) 방식이다.
아이들이 놀던 중 성인이 다가가 테이블에 있는 물건을 고의로 떨어뜨렸다. 그 결과 상호간의 교류가 있었던 첫 번째 그룹의 아이들은 두 번째 그룹에 비해 물건을 함께 줍는 행동을 보인 확률이 3배에 달했다.
또 상호 교류가 있었던 첫 번째 그룹에서 나이가 더 많은 아이들이 어린 아이들에 비해 도움의 손길을 준 확률도 2배 높았다.
연구진은 “이번 실험 결과는 이타심에서 비롯된 아이들의 행동 양식이 타고난 본성이 아닌 후천적 관계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는 사실을 입증한다”면서 “인간은 새로운 상황에 맞추어 적응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아이들은 상호 교류하는 놀이를 통해 타인에 대한 신뢰를 느끼며, 이 과정에서 새로운 문화를 접하게 되면서 효과적으로 성공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포토리아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