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일반

“가벼운 두려움 느끼면 ‘기억력 향상’ 효과” <네이처誌>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인간의 ‘기억’은 컴퓨터의 ‘메모리’와 달리 자세하게 모든 내용을 기억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난 월요일 점심에 무엇을 먹었는지 잘 생각나지 않듯 일상적인 사건은 종종 기억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의도적으로 기억하려 하지는 않았지만 어떤 사건이 또렷하게 떠오르는 경험도 있을 것이다. 이런 기억력 강화는 ‘가벼운 충격’이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계적인 학술지인 영국의 ‘네이처’(Nature) 21일 자에 실린 연구논문에 따르면, 인간의 기억은 ‘공포 반응’ 등 감정의 계기로 두려움을 느낀 순간 이전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이를 이용하면 과거의 중요 정보를 선택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고 한다.

미국 뉴욕대 릴라 다바치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이런 감정적 사건이 과거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 의도를 밝히지 않고 성인 30명을 모집했다.

연구팀은 참가자에게 동물이나 도구 사진 60장을 한 번씩 보여주는 실험을 세 단계에 걸쳐 진행했다. 첫 번째 실험에는 사진을 무작위로 보여줬다. 이어진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각각 도구나 동물 사진을 보여줄 때마다 따끔한 정도의 가벼운 전기 충격을 줬다. 하루가 지난 뒤 진행된 세 번째 실험에서는 첫 번째 경우처럼 어떤 충격도 주지 않고 진행했다.

확대보기


그 결과, 참가자들은 가벼운 충격을 받았던 두 번째 실험이었을 때 첫 번째 실험 때보다 더 많은 사진을 기억했다. 또한 그다음 날 이어 세 번째 실험에서는 충격이 없었지만 기억이 더욱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다바치 교수는 “첫 번째 실험은 참가자들이 동물 사진을 봤을 때 중요한 정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면서 “가벼운 충격이라는 사건 이후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런 감정적 사건이 발생한 뒤 기억력이 향상하는 것을 인지하고는 있었지만, 하루가 지났을 때 과거의 기억을 보강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실험결과를 보여준 ‘선택적 기억 강화’를 더욱 연구해 나가는 것이 효율적인 학습법이 개발되기 쉽다고 한다.

다바치 교수는 “초기 단계의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잊고 싶지 않은 과거 기억을 강화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또 이런 기억 보강효과는 세 번째 실험은 그날 바로한 경우에는 효과를 볼 수 없었다. 충격받은 뒤 기억이 강화하는 데는 '6시간은 지나야 한다'는 것이다.

기억 강화가 생기는 동안 실제로 뇌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뇌영상 검사를 계획하고 있다. 또한 이번 실험처럼 충격을 주는 방법은 이상적이지 않으므로, 앞으로 다른 자극으로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추가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사진=ⓒ포토리아(위), 네이처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美 F-35 72대 한꺼번에 인도…韓 추가 도입엔 영향?
  • “사망자 30만명 예상”…日 사흘간 지진 300회, ‘7월
  • 승려 9명 옷 벗었다…승려들 유혹해 성관계 후 164억 뜯어
  • 114세 초고령 할머니가 밝힌 ‘장수 비결’ 음식은 ‘이것’
  • 6세 소녀와 결혼한 45세 남성 얼굴 공개…‘경찰’ 반응은
  • 나라 망신…한국 50대 男, 필리핀 13세 소녀 임신시키고
  • (영상) “다른 남자에게 성폭행당해 임신한 여친, 용서 못
  • “36세인데 17세로 보인대요” 동안 호소남 등장에 시끌시끌
  • 외국男과 ‘하룻밤’ 보낸 여대생 퇴학시킨 대학 논란…이유는?
  • “토끼 보러 갈래?” 中 7세 성폭행 살해범, 사형 처해져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