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하게 집을 빼앗길 당할 처지에 놓인 60대 암 환자를 위해 생면부지의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무려 500명의 사람들이 ‘인간 바리케이트’를 자청하고 그를 돕는 모습이 공개됐다.
영국 텔레그래프, 야휴 뉴스 등 현지 언론의 23일자 보도에 따르면, 전립선암을 앓고 있는 톰 크로퍼드(63)와 그의 아내 수잔(54)은 1988년 은행으로부터 저축성 보험 담보 대출을 받아 4만 1800파운드(약 6780만원) 상당의 집을 샀다.
이후 두 사람은 슈퍼마켓에서 맞벌이를 하며 매달 300~400파운드 가량씩 대출금을 상환했으며, 예정대로라면 2년 전인 2013년 빚을 모두 갚을 수 있었다.
하지만 2007년 부부는 은행으로부터 뜻밖의 소식을 접했다. 지금까지 두 사람이 대출 할부금을 단 한 번도 갚은 적이 없다는 것. 저축성 보험담보 대출에 대한 기록이 없다는 것이 이유였다.
두 사람은 강하게 항의했지만 은행 측은 결국 지난 6개월 전부터 빚을 집으로 대신 갚으라는 독촉을 하기 시작했다. 크로퍼드는 “죽는 한이 있어도 집을 떠날 수 없다”고 말하며 강하게 저항했고, 동시에 은행 측에 “대출 관련 자료를 내놓으라”고 말했지만 은행 측은 이를 거부했다.
은행이 고용한 사람들이 크로퍼드 부부를 집에서 부당하게 끌어내려 한다는 소식이 유투브를 통해 알려지자 생면부지의 사람들이 힘을 모았다.
강제 퇴거 및 철거를 위해 몰려든 건장한 남성들에 대항해 ‘인간 바리케이트’에 동참한 사람들은 무려 500명. 이들은 이른 새벽부터 크로퍼드의 집을 찾아 집 주위를 에워쌌다.
은행의 부당한 처사와 불투명한 태도에 불만을 느끼고 그를 돕기 위해 모인 ‘인간 바리케이트’는 강제퇴거를 집행하러 온 담당자들을 거세게 몰아세웠고, 일부는 이들과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일부는 “내가 톰 크로퍼드다”(I Am Tom Crawford)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대치하기도 했다.
전립선암 탓에 2년 전부터 일자리도 없이 지내온 크로퍼드는 ‘인간 바리케이트’ 500명에게 무한한 감동과 감사를 느낀다며, 죽는 한이 있어도 27년간 살아온 집을 빼앗기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편 크로퍼드 자산 압류를 담당하는 배드 뱅킹 ‘UARL’(UK Asset Resolution) 측은 법적 대응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사진=맨 아래는 집 주인 톰 크로퍼드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