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크 랙(자전거 고정대)를 장착한 앰뷸런스가 등장해 화제다.
미국 콜로라도주 포트 콜린스에 있는 푸드르벨리 병원은 최근 14대 앰뷸런스에 바이크 랙 설치작업을 완료했다.
병원은 앰뷸런스 출동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지난해 말부터 정기점검 때마다 차례로 바이크 랙을 설치했다.
작업은 해를 넘겨 최근 완료돼 병원이 보유한 14대 앰뷸런스에 튼튼한 바이크 랙이 설치됐다. 덕분에 환자와 자전거의 동시 이동이 가능해졌다.
병원이 앰뷸런스에 바이크 랙을 설치한 까닭은 무엇일까? 포트 콜린스의 남다른 자전거 사랑 때문이다.
포트 콜린스에는 자전거 사용자가 유난히 많은 편이다. 포트 콜린스에서 매년 열리는 가장 자전거 퍼레이드 행사에는 수천 명이 참가한다. 직원들에게 무상으로 자전거를 지원하는 맥주회사 뉴 벨지움이 행사를 후원한다.
시도 자전거 사용을 적극 권장해 자전거 전용도로도 쾌적하게 잘 깔려 있다.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많다보니 자전거를 타다가 발생하는 사고도 상대적으로 잦은 편이다.
사고가 나면 바로 앰뷸런스가 출동하지만 자전거 때문에 난감한 경우가 생기곤 했다. 다치고도 "자전거를 놔두곤 절대 병원에 못 가겠다."며 병원행을 거부하는 사람이 적지 않았기 때문.
웬만한 자동차만큼 비싼 고급 자전거를 타는 사람의 경우 특히 이런 일이 많았다.
고민하던 병원에 해결책을 내놓은 건 현장 경험이 많은 앰뷸런스 직원이었다. 직원은 "앰뷸런스에 바이크 랙을 달면 어떨까요?"라고 아이디어를 내놨다.
병원은 무릎을 치며 제안을 받아들여 곧바로 바이크 랙 설치작업을 시작, 올해 완료했다. 바이크 랙 설치에 병원이 쓴 돈은 약 5000달러, 우리돈 504만원 정도다. 대당 350달러 정도가 들었다.
한편 이색적인 바이크 랙 앰뷸런스 운영을 개시한 병원은 자전거 수습이 시간지연을 유발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배려했다.
아이디어를 낸 직원은 "현장에 출동한 팀원 중 한 명이 자전거를 수습하기로 역할을 분담했다."며 "자전거 때문에 응급환자 이송시간이 지연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CBS(로컬)
손영식 해외통신원 voniss@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