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인류에게 ‘파랑’은 없었다.”
최근 독일의 한 철학자가 고대 인류의 색깔 구분이 현대와 달랐다는 주장을 내놓아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비즈니스인사이더 등 해외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고대 인류가 기록한 자료에는 그 어디에서도 ‘파란색’이라는 단어를 찾아볼 수 없다. 그리스 문명 당시의 기록에 ‘하늘’이 묘사된 적은 있지만 하늘을 ‘파랗다’라고 묘사하지는 않았다.
독일의 철학자 라자루스 가이거는 이 같은 특징이 그리스뿐만 아니라 코란과 고대 중국의 전설, 구약성서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양한 고대문서에는 ‘파랑’이라는 색깔이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파란색과 녹색을 하나의 색깔로 봤다는 것.
1858년 호메로스가 쓴 ‘오디세이’에는 ‘와인처럼 검은 바다’(Wine-dark sea)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현대와 달리 바다를 묘사할 때 파랑은 사용되지 않았다. 이와 반대로 묘사에 쓰인 단어 중 검은색은 200회 이상, 흰색은 100회 이상, 붉은색은 15회 이상, 노란색과 녹색은 10회 미만이었다. 어디에도 파랑은 존재하지 않는다.
문화와 언어에 따라 색깔과 관련한 단어는 각기 다르게 쓰인다. 영어의 경우 파랑, 분홍, 녹색 등이 포함된 단어가 주를 이루는 반면 중국어에서는 빨강, 파랑, 녹색 등이 가장 두드러지게 사용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고대에 파랑은 별도의 색이 아닌 녹색이나 이보다 더 짙은 녹색 등으로 분류됐다. 사람들이 볼 수 있는 자연에 파란색이 드물었기 때문”이라면서 “파란색 동물이나 파란색 꽃 등을 찾아보기 어려운 자연환경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에도 파란색을 ‘가지지 않은’ 사람들이 있다. 나미비아의 한 부족의 언어에는 파랑을 묘사하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파란색과 녹색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파란색 물과 파란색 하늘을 봐도 녹색이라고 가리킨다.
전문가들은 ‘파랑’이라는 색채 개념이 현대에 들어와 발전했으며, 색채와 관련한 언어적 표현은 시기와 문명 등에 따라 각기 다르다고 보고 있다.
사진=포토리아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