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타인 눈동자 10분간 응시하면 ‘환각’ 빠진다? (연구)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사람의 눈을 오랫동안 응시하는 것만으로 ‘환각’ 증상에 빠질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등 외신은 1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우르비노 대학 연구팀이 참가자들로 하여금 둘씩 짝지어 상대의 눈을 10분간 바라보도록 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보도했다.

참가자들은 40명의 참가자를 모집, 이들을 절반씩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었다. 참가자 전원에게는 진정한 실험 목적을 설명하지 않고 그저 ‘눈을 뜬 채 실시하는 명상’의 효과를 실험하겠다고 고지했다.

실험집단 20명은 2명씩 한 조를 이루어 같은 방 안에 1m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앉아 10분 동안 서로의 눈을 바라보게 했다. 방 안의 조명은 0.8㏓(럭스)로 설정했는데 이는 얼굴을 알아볼 수는 있지만 그 색상은 잘 인식되지 않을 수준의 조명이다. 통제집단의 경우 똑같은 밝기의 조명이 있는 방에서 텅 빈 벽을 10분 동안 바라보도록 했다.

10분이 다 지나고 나서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체험에 대해 묻는 두 종류의 설문을 실시했다. 첫 번째 설문에서는 감각이 둔해지는 등 현실감을 잃는 증상이 있었는지 물었고 두 번째 설문에서는 10분이 경과한 후 상대의 얼굴(통제집단의 경우 자신의 얼굴)을 보며 시각적 이상을 느꼈는지 여부를 물었다.

첫 번째 설문에서 실험집단의 경우 이전에 느껴보지 못한 기묘한 감각을 느꼈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소리가 너무 크거나 작게 들리는 등 청각의 이상을 호소하는 참가자도 있었고 시간이 느려진 것처럼 느껴졌다거나 마약에 취한 듯 멍해졌다는 진술이 뒤를 이었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해서도 실험집단의 90%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모두 상대방의 얼굴 형태가 일그러지는 현상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또한 75%의 학생들은 괴물을 목격했다고도 말했다. 50%은 상대에게서 자신의 얼굴 일부를 봤다고 말했고 15%는 친척들의 얼굴을 봤다고 밝혔다.

연구를 이끈 지오반니 카푸토 박사는 다른 사람들의 눈을 응시하는 행위가 개인의 인식능력과 정신적 상태에 깊은 영향을 끼치는 것을 보인다고 발표했다. 그는 눈을 쳐다보면서 잃었던 현실감각을 되찾으면서 일종의 반동 효과로 환각 증세가 나타나는 것이라고 짐작했다.

그러나 그 정도가 심각하지 않고 모든 것이 정황상 추측에 해당하므로 단언할 수는 없으며, 현실감각을 잃는 원인 등에 대한 추가 연구 또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실험에서 관찰된 현상은 한 점을 응시하는 행동 자체로 인해 발생한 것일 수도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들에 따르면 과거에 거울에 비친 자신의 눈동자를 응시하거나 한 점을 응시하는 실험을 진행했을 때에도 참가자들은 현실감을 잃었다고 증언했다. 그러나 타인의 눈을 바라봤을 때 해당 현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그 원인은 아직 불명이라고 전했다.

사진=ⓒ포토리아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

추천! 인기기사
  • ‘회사 내 성관계’ 동영상 수백개 유출…결국 정부가 나섰다
  • 3500년 전 매장된 ‘잘린 손 12개’ 비밀 밝혀졌다
  • (속보)충격적 팀킬…“북한군, 전투서 러시아군 향해 총격”
  • “러·북한 지지한다”…77명 살해한 노르웨이 살인마, 머리에
  • 북한군 파병 진짜 이유?…“러軍 하루 평균 사상자 1500명
  • 3세 여아 강간·살해한 男…“산 채로 사지 부러뜨리고 버렸다
  • 5년 후 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 ‘아포피스’…지구 중력에 산
  • 10대 남녀, 두바이서 ‘사랑’ 나눴다가 징역 20년형 위기
  • “파병 북한군, ‘음란 동영상’에 푹 빠졌다…인터넷 자유 덕
  • “역사상 최초”…털까지 완벽 보존된 3만5000년 전 ‘검치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