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영국 워릭대학교 디터 볼케 교수 연구팀은 조산아와 만기 출산아의 행로를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는 지난 1958년과 1970년 28주~42주 사이에 태어난 영국민 총 1만 5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연구팀은 37주를 기준으로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성인이 됐을 때의 모습을 추적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1970년에 조산아로 태어난 아이의 경우 30% 정도가 커서 육체노동자가 됐다. 만기 출산아는 25% 정도가 같은 일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산아의 경우 3% 정도가 실업자로, 만기 출산아는 2.5%로 집계됐다. 이를 수입으로 비교해보면 조산아의 경우 50%대가 평균 가계소득 이하였으며 만기 출산아는 49%가 평균 소득 이하로 분석됐다.
개인별 차이와 시대상황 차이(1958~1970년)가 존재하고, 비교수치상 많은 격차를 보이지는 않지만 시사하는 바에 유의할 필요는 있어 보인다. 연구팀은 이같은 차이를 조산아의 경우 수학적 능력 등이 만기 출산아에 비해 다소 떨어지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연구를 이끈 볼케 교수는 "어린시절의 학습능력이 장기적으로 부(富)에 일정부분 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수학 능력의 경우 '현대의 직업'에서 과거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것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이어 "가정과 학교에서 이같은 현상을 고려해 맞춤형 교육을 해 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즉 개인의 문제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이에따른 사회적 지원과 교육의 공공성을 높이는 노력을 해야한다는 것.
또한 조산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임신부가 야근 등의 힘든 상황에 처하지 않게 사회적 인식 제고와 배려, 가족들의 격려와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이 아닌 바다 건너 영국의 상황이고 수치상의 큰 차이는 없으나 맞벌이 증가와 임산부 고령화 등의 문제를 겪고 있는 우리에게도 시사점을 던져주는 연구결과이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