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콥터는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고 공중에서 다양하게 이동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군사적으로는 물론 여러 영역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헬기의 단점도 만만치 않다. 예를 들어 헬기는 경사가 심하거나 흔들리는 지형에 착륙이 쉽지 않다.
이게 무슨 엉뚱한 소리인가 반문할 수도 있지만, 사실 이런 상황에서도 착륙할 수 있다면 헬기의 쓰임새는 더 넓어질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DARPA(Defenc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미국 방위 고등 연구 계획국)은 새로운 형태의 헬기 착륙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조지아 공대와 협력해서 개발 중인 이 계획의 이름은 임무 적응 로터(Mission Adaptive Rotor: MAR) 프로그램으로 이전에는 착륙할 수 없는 상황에서 착륙이 가능한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새로운 헬기 착륙장치는 마치 동물의 네 다리처럼 생겨서 다양한 형태의 지형에 안정적으로 착륙할 수 있다.
DARPA는 관절과 센서를 지녀 스스로 균형을 잡을 수 있는 다리를 지닌 이 새로운 헬리콥터가 균형을 잃고 넘어지는 사고를 최대 80%까지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20도 경사진 비탈길에서도 헬기를 착륙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 이상 경사진 장소는 헬기의 로터와 지면이 충돌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거센 파도와 강풍에 흔들리는 구축함의 비행갑판에 착륙해야 한다고 가정하자. 이런 상황에서 헬기 착륙은 매우 위험하다. 헬기가 착륙할 때 측면에서 강풍이 불거나 갑판이 기울어지면 넘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만약 자세를 잡고 넘어지지 않게 만드는 장치가 있다면 헬기와 승무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사진 참조)
헬기로 병력을 수송하는 헬리본 작전 시에도 마찬가지다. 만약 헬기가 평지가 아닌 비탈길에도 착륙할 수 있다면 작전 수행이 훨씬 수월해진다. 특히 산악 지형에서는 헬기가 착륙하기에 적당한 장소를 찾기 어려운데, 이 새로운 착륙 장치가 있다면 반드시 평지가 아니라도 착륙할 수 있을지 모른다. 이는 단순히 군용으로만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응급 인명 구조 시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사진 참조)
현재는 축소 모형 무인기로 예비 타당성을 조사하고 있는데, 과연 이 새로운 방식의 착륙 장치가 헬기 분야에서 새로운 혁신을 일으킬 수 있을지 미래가 주목된다.
사진=DARPA
고든 정 통신원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