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뮌헨대학(Ludwig-Maximilians-University Munich) 연구팀은 많은 사람들이 정기적으로 셀카를 찍는 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셀카를 보는 것에 관심이 없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현상을 ‘셀카 패러독스(the selfie paradox)’라 명명했다.
연구진은 오스트리아와 독일, 스위스 출신 총 238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했고, 셀카를 찍는 동기와 셀카를 볼 때 사람들의 반응을 평가했다.
그 결과, 참가자의 77%가 일정 간격으로 셀카를 찍지만 62~67%는 셀카가 자존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부정적인 결과면에 더 주목했다. 셀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82%의 사람들이 소셜미디어에서 셀카 대신 다른 유형의 사진을 보는 것이 낫다고 답한 것으로도 증명됐다.
셀카를 창조적인 표현 수단이나 다른 사람들과의 연결 방편으로 보는 의견도 있었지만, 자애적이고 홍보나 가식으로 보는 사람이 많았다. 또한 셀카는 누군가의 삶을 확실하게 보여줄 수 없는 반면 셀카를 찍는 사람을 포장하거나 자아도취처럼 보이게 한다는 사실에 대개 동의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셀카에는 자기 홍보형, 자기 노출형, 절제형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고 밝혔다.
자기 홍보성 셀카는 긍정적인 성향의 사람들을 능숙하게 다루는 경향이 있으며, 노출성 셀카는 세상사람들과 사적인 순간을 공유하거나 동의를 얻는다. 마지막 유형인 절제형 셀카는 자기 자체 혹은 자신의 성취감과 능력을 사소한 것으로 표현한다.
이들 중 자기 홍보 또는 자기 노출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한 참가자들이 셀카를 찍는 것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다.
연구를 주도한 사라 디펜바크 교수는 "사람들은 주로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광범위한 전략으로 셀카를 찍는다"고 설명했다.
참가자들은 그들 스스로 찍은 셀카가 더 정확하다고 모순적으로 판단했고, 다른 사람들이 찍은 셀카에 대해선 더 큰 홍보의 동기, 더 적은 진정성을 느꼈다.
디펜스 교수는 "우리 모두가 자기애를 느끼기 때문에 셀카를 찍는다. 대부분이 동의한다면 세상이 셀카로 가득한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안정은 기자 netineri@seoul.co.kr